"20년 넘은 낡은 서울 공원, 재정비 위해 민간 재원 활용해야"
"20년 넘은 낡은 서울 공원, 재정비 위해 민간 재원 활용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후화 돼 안전을 위협하는 공원 모습.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노후화 돼 안전을 위협하는 공원 모습.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조성한 지 20년이 넘은 낡은 도시공원을 재정비하기 위해 민간 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성숙도시 시대, 노후·저이용 도시공원 재정비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현재 도시공원에서 조성된 지 오랜 기간이 지나 노후화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8년 공원 수 기준으로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공원은 34%, 10년이 넘은 공원은 66%에 이르고 있다.

특히 도시화가 가장 먼저 진행된 서울시의 경우 1970년대 중반부터 생활권 내 공원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현재 조성 후 20년이 넘은 공원이 전체의 69%, 10년 이상은 91%에 이르는 등 공원의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공원은 수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오래될수록 좋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노후화로 일상적인 유지·관리를 넘어서는 수준의 대대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어린이 놀이터는 놀이기구의 노후화 및 안전 문제 등으로 재정비 수요가 잦다. 또 과거에 조성된 공원의 경우 설계기술 부족 등으로 잠재적인 가치를 충분히 실현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이와 함께 조성 당시 수목의 식수와 관련한 세심한 계획이 부족하거나 조성 후에도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곳이 많다. 이로 인해 위험수(부러질 우려가 높은 나무 등)가 방치된 곳도 적지 않다.

이태희 부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원 정책은 공원의 양적 확대에 치중한 반면, 기존 공원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상당히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공재인 공원을 재정비하기 위해서는 공공 예산 투입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공원 성능평가를 바탕으로 공원 개선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연계 가능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효율적 자원 배분과 불필요한 특혜 시비 최소화를 위해서는 체계적 평가체계 마련이 선행되고, 지자체 예산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시재생, 생활SOC 사업 등 연계 가능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공원재정비 사업을 추진해야한다.

건산연은 공원재정비 사업에 민간부문(영리) 재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산연은 민간투자를 활용한 공원재정비에 적합한 신규 사업방식인 가칭 '민간 도시공원 재정비 특례사업'을 제안했다.

또 저출산·고령화 등으로 공공재정 여력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공원재정비 사업에 민간부문(영리) 재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부연구위원은 "공원을 개선하자는 것에 반대할 사람은 없겠지만 중요한 것은 재원을 확보하는 일"이라며 "공공재인 공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공재원 투입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나, 이와 동시에 민간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