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포스트 코로나 대비 항행안전시설 고도화 추진
국토부, 포스트 코로나 대비 항행안전시설 고도화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형 정밀위치보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KASS 구성 체제. (자료=국토부)
KASS 구성 체계. (자료=국토부)

[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국토교통부는 코로나19 이후 늘어날 항공교통 수요에 대비해 항행안전시설 발전 전략을 수립했다고 20일 밝혔다.

항행안전시설은 지상과 위성을 통해 항공기와 교신하며 항로를 안내하고 이착륙 지원, 관제에 필요한 위치 감시 등 항행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미국과 유럽은 미래 항공교통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위성에 의한 정밀위치서비스 △고속․대용량의 통신 환경 △첨단 항행시스템과 유·무인 항공기가 연계한 조화로운 비행환경 조성 등 체계개발·기술표준 선점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구체적인 기본계획 수립 등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 '항행안전시설 중장기 발전 로드맵(안)'을 마련하게 됐다.

국토부는 최근 항공정책위원회에 해당 안건을 상정해 심의를 마쳤으며 관계부처와 협력·추진키로 했다.

발전 로드맵에는 한국형 정밀위치보정 위성항법시스템(KASS)을 개발해 내년부터 국내 전역에 GPS 위치를 보정한 1~3m 이내의 정밀 위치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국내 첨단 증강현실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원격관제시스템' 기술개발과 무인 항공기를 지상에서 원격조종 할 수 있는 '무인원격조종시스템'의 국제적 기술표준 제정을 선도하기 위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행시스템패널(Navigation System Panel) 참여 계획도 포함됐다.

국토부는 기존 시스템의 현대화와 차세대 감시시스템의 전국망 구축, 국산화 시스템의 수출지원을 위해 해외공항 개발사업에 국내개발 항행시스템과 운영기술을 패키지 형태로 제시하는 등 전략적 선택도를 높이도록 했다.

첨단 항행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 등은 항공기의 정밀 이·착륙과 운항, 지상의 관제사의 항공기 정밀 감시를 돕는다. 이를 통해 항공기 충돌을 방지하고 수용량 증대, 무인항공기와의 조화로운 항행에 기여하게 된다.

송시화 국토교통부 항행시설과 과장은 "앞으로 구체적 이행방안 마련을 위해 올해 '항행안전시설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유·무인 항공기와 드론이 상호 공존하는 미래 환경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코로나19 종식 이후 한정된 공역의 항공교통 수요 증대에 만전을 기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연구개발(R&D) 활성화 정책에 따라 지난 2009년부터 계기착륙시설, 전방향표지시설 등 일부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터키 등 전 세계 15개국 수출과 수입대체로 약 1억달러(한화 1258억원) 상당의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인천국제공항의 항행안전시설은 아시아 최초 활주로 운영등급 가운데 최고등급(CAT-IIIb)을 획득하기도 했다. 최고등급인 CAT-IIIb는 짙은 안개로 75m 밖에 볼 수 없어도 착륙이 가능한 수준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