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코로나19 국내 발생 1년이 지난 가운데 기업 10곳 중 8곳이 피해를 입었고, 이 중 4곳은 비상경영을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업체 302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 사태 1년, 산업계 영향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31일 밝혔다.
코로나 사태가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75.8%가 '피해를 봤다'고 답했다. '생존까지 위협받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3%였다.
사업에 '다소 도움이 됐다'는 응답은 14.6%, '좋은 기회였다'는 곳은 1.3%정도에 그쳤다.
생존 위협이나 피해를 본 기업 10곳 중 4곳은 비상경영을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상경영에 들어간 이유로는 매출 급감(79.0%)이 대부분이었고, 이로 인해 임금감축 등 경비절감(71.9%), 휴직·휴업(50.0%), 인력축소(42.1%), 투자보류(14.9%) 등의 조치를 취했다.
백신접종 이후 사업 활동이 정상화되는 시기는 올해 3분기 이후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다만 업종별로 정유뷰문은 올해 2분기 말부터, 가전과 건설업은 각각 3분기 이후 빠른 회복세를 기대했고, 항공·여행은 4분기, 공연·문화는 내년 이후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촉진된 디지털화, 무인화 등의 변화는 코로나 종식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될 것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이러한 변화들이 가속·확산하거나 코로나 때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체의 72.8%에 달한 반면 코로나 이전으로 회귀할 것이라는 전망은 27.2%에 그쳤다.
코로나 이전으로 회귀가 어려운 분야는 영업·마케팅 활동(46.1%)과 근무형태(25.4%), 채용·교육(18.9%), 기획전략(12.3%) 등이 지목됐다.
코로나 이후 경영환경 변화 대응 여부에 대해서는 '대응중'이라는 응답이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우 71.8%에 달했지만 중소기업은 52.6%수준이었다.
올해 기업경영 성과를 좌우할 중요 변수로는 코로나 백신 보급과 면역형성(36.4%)과 금리·환율 변동(22.2%), 기술패러다임 변화(16.9%)등이 꼽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