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 고율 관세 부과 여파로 현대자동차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실적 회복의 전제 조건으로 대미 관세 해소를 꼽으며, 새로 지명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협상력에 주목하고 있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차의 올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3조6397억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수치다. 순이익도 3조5953억원으로 추정돼 14%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영업이익률 추정치는 1.64%포인트 하락한 7.86%로 나타났다.
실적 하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트럼프 행정부발 25% 품목관세가 지목된다. 5월부터 해당 관세가 적용된 차량의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비용 부담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일부 상쇄하기 위한 조치로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가동률 제고에 힘쓰고 있으나, 현재 가동률은 30%에도 미치지 못해 수익성 방어에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25% 품목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연간 최대 6조2600억원 규모의 영업이익이 훼손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의 4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관세 해소 여부가 실적 회복의 최대 변수"라며 "관세가 지속될 경우 기술 투자나 주주 환원 확대에도 제약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이런 가운데 관세 협상의 실마리를 풀 산업부 장관 후보자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지명되면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후보자는 기획재정부 관료 출신으로, 2018년 두산그룹에 합류한 뒤 약 7년간 현장에서 실물 경제를 경험한 인물이다. 대통령실은 "관료와 기업인을 두루 거친 성장형 인재"라며 "새 정부의 실용 통상 노선을 구현할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다음 달 8일로 예정된 한미 상호관세 유예시한 종료를 앞두고, 김 후보자가 대미 협상을 원만히 이끌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기존 25% 품목관세에 더해, 국가별로 최대 50%까지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한국 등 주요 교역국을 압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는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자동차 산업 전반, 더 나아가 한국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자동차 산업이 국내 제조업과 수출을 떠받치는 핵심축인 만큼, 새로 지명된 산업장관이 국익 차원에서 관세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