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비(非) 카드뮴 고휘도 'EL-QD', 5000PPI RGB 올레도스 등 차세대 혁신 제품을 들고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가 여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5'를 찾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3~15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5(SID 2025)'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세계 디스플레이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첨단 기술과 R&D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삼성디스플레이는 전계발광 퀀텀닷(EL-QD) 제품을 선보인다. 또 패널에서 나온 빛으로 심박수와 혈압 등 건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첨단 센서 기술 유기광다이오드(OPD)를 비롯해 1.4형 크기에 5000PPI를 구현한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등을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이는 EL-QD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이 집약된 제품으로 지난해 'SID 2024'에서 QD-LED라는 이름으로 업계 최초 공개했다. 현재 상용화된 QD-OLED가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광발광(PL) 방식이라면, 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RGB 픽셀을 빛내는 전계발광 방식이다. QD 특유의 장점인 뛰어난 '색 정확도'를 극대화하면서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번에 선보이는 EL-QD는 400니트 고휘도 제품과 264PPI 고해상도 제품, 두 가지이다. 고휘도 제품은 지난해 공개한 제품보다 50% 이상 밝아졌다. 이는 지금까지 공개된 제품 중 최고 밝기로, EL-QD 상용화의 최대 난제로 꼽히는 청색 재료의 수명을 개선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고해상도 제품의 경우 픽셀 밀도가 지난해 공개한 EL-QD 제품보다 한층 높아진 264PPI(1인치당 픽셀 수)에 달한다. 잉크 특성과 잉크젯 인쇄 공정간 호환성을 높인 덕분으로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성과를 논문으로 발표해 SID로부터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 밖에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센서 OLED 디스플레이' 기술도 이번에 실물로 전시된다. 센서 OLED 디스플레이는 특정 부분이 아닌 화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고, 빛으로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만의 혁신 기술이다.
RGB 올레도스 중 업계 최고 해상도를 구현한 5000PPI 제품도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인다. 크기는 1.4형 초소형으로 손목시계 화면만큼 작지만 8K TV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췄다. 이 제품은 초고해상도에 △화면 밝기 최대 1만5000니트 △120Hz 주사율 △DCI-P3 기준 최대 99% 색 표현 등 실감나는 XR 기기를 위한 고성능을 두루 갖췄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화면 밝기가 2만니트(4200PPI)에 달하는 RGB 올레도스도 최초 공개한다. 이 제품은 기존 업계에서 발표한 RGB 올레도스 중 최고 밝기를 자랑한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이다.
혁신적인 폼팩터 제품들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지난해 공개된 마이크로LED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3차원으로 돌출시키거나 공처럼 둥근 표면을 고해상도로 구현하는 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3차원 지도 콘셉트를 적용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화면 중 두 부분이 동시에 돌출되는 연출을 선보일 예정이다.
올 초 'MWC 2025'에서 처음 선보였던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 '폴리건 폴더블' 등도 살펴볼 수 있다. 플렉시블 브리프 케이스는 18.1형 폴더블 OLED를 반으로 접어 손잡이가 있는 가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한 제품이다. 평소에는 태블릿 두 개를 합친 18.1형 크기로 크게 화면을 사용하다 이동 시 서류가방처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폴리건 폴더블'은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3.38형 마름모 형태 OLED를 플립형 폴더블 폰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제품으로 삼성디스플레이의 혁신적인 레이저 가공 기술을 통해 탄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