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4월 16일 시카고에서 시카고 경제클럽이 주최한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4월 16일 시카고에서 시카고 경제클럽이 주최한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닷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즉각적 대응보단 신중론을 택할 것이란 진단이다.

다만 충격의 1분기 마이너스 성장 등으로 경기 부양 측면의 금리 인하 필요성은 오히려 증대됐단 관측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상호관세 유예 시점과 파급효과를 점검할 시차 등을 고려하면 다음 인하 시점은 오는 9월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는 6~7일(현지시간)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예정된 가운데, 현재 선물시장에 반영된 금리 동결 가능성은 94.4%로 집계됐다.

동결 전망의 핵심 근거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다. 지난달 공개된 상호 관세 수준이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돌면서, 미국 실물 경기에 전방위적인 타격을 줬기 때문이다.

다만 관세 부과 시점이 불과 한달 전에 불과해 충분한 데이터가 모이지 않은 점이나, 상호관세가 90일간 유예된 점, 관세 관련 각국의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점 등은 선제적인 통화정책 대응 필요성을 낮춘단 지적이다.

실제 연준은 지난달 23일 공개한 베이지북을 통해 "관세를 둘러싼 경제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몇몇 지역의 전망이 상당히 악화됐다"고 평가했지만, 정작 12개 관할 지역 중 4개 지역만이 경제활동만이 '약간에서 보통 사이(slight to modest)'의 감소세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반면 다른 8개 지역 중 3개 지역은 관세 발효 이후 경제활동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다른 5개 지역은 경제활동이 오히려 '약간(slightly)'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온전하게 전이되지 않은 만큼, 보다 명확해질 때까지 정책 대응을 미루는 것이 합당하단 설명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16일 한 연설에서 금리 인하와 관련해 "서두르지 않고 상황이 보다 명확해지기를 기다리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직후 시장내 '파월 풋' 기대감이 소멸되며, 침체 우려에 기반한 증시 하락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시장의 눈은 다음 금리인하 시점에 쏠려있다. 제조업 지표나 소비심리 등 부정적 징후가 불거지며 부양 측면의 금리 인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현 정부에서 끊임없이 금리인하를 촉구하고 있다. 파월 의장도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을 크게 상회하면서,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라는 이중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한 상황이다.

특히 미국의 1분기 마이너스성장으로 부양 측면의 금리 인하 압력이 더욱 커졌다는 평가다. 30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전분기 대비 0.3% 감소하면서, 시장 전망치(0.4%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지난달 관세 부과를 앞두고 수입이 급증하면서 무역적자가 악화된 영향이 컸다.

연준 역시 지난 3월 FOMC에서 공개한 점도표를 통해 연내 2회의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다만 관세발 경기침체 압력이 예상을 크게 웃돈 만큼 금리인하 시점이 당겨질 수 있으며, 인하 횟수도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 선물시장에 반영된 가장 유력한 금리 인하 시점으로 6월(25bp 인하, 62.4%)이다. 또한 시장 관계자 다수가 연내 4회 가량의 인하를 점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상호관세 유예 시점이 오는 7월 8일까지라는 점에서, 다음 인하 시점은 9월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당장 상호관세가 부과된다 해도, 관세가 실물경제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시차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반면 주요국과의 관세협상이 타결되고 대중국 관세율이 인하될 경우 금리 인하 필요성은 낮아지는 만큼 선제적 대응보단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FOMC 일정 상 7월(31일)에서 9월(18일)로 바로 넘어간다는 점도 9월 인하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잠재 수준을 하회하는 성장률이 지속되고, 실업률도 추세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라며 "이는 9월 이후 경기 침체를 방지하기 위한 보험적 성격의 인하로 이어질 것이다. 다만 고용 둔화가 이어질 경우 첫 인하 시점이 6~7월로 앞당겨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