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3구'의 아파트 가격이 모두 상승했다. 이에 힘입어 서울 아파트값도 상승 폭을 확대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2월 셋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2%) 대비 0.06% 올라 상승 폭을 키웠다.
특히 강남3구 중심으로 상승세가 돋보였다. 잠실·신천동 위주로 상승한 송파(0.14%→0.36%)는 0.22%포인트(p), 대치·청담동 위주로 오른 강남(0.08%→0.27%)은 0.19%p, 서초·잠원동 위주로 상승한 서초(0.11%→0.18%)는 0.07%p 각각 올랐다.
마포(0.02%→0.02%), 광진(0.01%→0.05%) 등 다른 상승지역과도 비교해도 상승 폭이 차이를 보였다. 반면 △동대문(-0.05%) △노원·도봉(각각 -0.04%) △금천·구로(각각 -0.01%) 등은 하락했다.
부동산원은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도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상승거래가 체결되는 등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수도권 전체로는 전주(-0.03%)보다 하락 폭이 축소돼 0.01% 하락했다. 인천(-0.06%)과 경기(-0.04%)가 하락한 영향이다.
인천은 계양구(-0.12%)는 효성·작전동 위주로, 서구(-0.10%)는 청라·가정동 위주로, 연수구(-0.10%)는 입주물량 영향있는 송도동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는 재건축사업 진행 중인 별양·부림동 위주로 과천시(0.15%)와 상·중동 구축 위주로 부천 원미구(0.14%)는 상승했으나 △평택시(-0.23%) △광명시(-0.18%) △성남 중원구(-0.14%) 등 하락폭이 컸다.
5대 광역시(-0.06%)와 세종(-0.12%)은 지난주와 같은 하락 폭을 나타냈다. 8개도(-0.04%→-0.03%)는 하락 폭을 좁혔다. 시도별로 대구(-0.09%), 전남(-0.08%), 부산(-0.06%), 제주(-0.05%) 등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전북(0.01%)은 유일하게 상승했고, 울산(0.00%)은 보합을 보였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은 0.03% 떨어지며 1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국 전세가격(0.00%)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다. 서울(0.02%)이 상승 폭을 유지한 가운데 인천은 -0.07%에서 -0.04%로 하락폭을 줄였고-0.04%, 경기는 보합(0.00%)에서 0.01%로 상승 전환해 수도권(0.00%→0.01%)은 상승으로 돌아섰다.
5대 광역시(-0.01%→0.00%)는 하락에서 보합으로 돌아섰고 세종(-0.02%→-0.03%)과 8개도(-0.01%→-0.02%)는 하락 폭이 확대됐다.
- 오피스텔 월세 수요 늘자 수익률까지 '쑥쑥'
- 서울 아파트값 2주째 상승···재건축·학군지 등 수요 몰려
- 입주 코앞 '메이플자이' 공사비 갈등···GS건설 "4900억 더 달라"
- 서울 아파트값 격차 5배···강남 vs 강북, 뚜렷한 양극화
- 서울 아파트값 5주만에 상승 전환···"전반적 관망세는 지속"
- '토허제' 해제의 역설···강남3구 평균 거래가 8% 급등
- 전세 시장 불안 커져···수요자 신규 분양으로 눈길
- 수도권 공급 10년만에 최저치···입주 물량 반토막
- '토허제 해제' 강남4구 집값, 반년 만에 최대 폭 상승
- [전문가 기고] 토지거래허가구역 벌집을 쑤시다
- 토허제 해제 이후 서울 강남3구 아파트값 급등
- 내년까지 전국서 46.5만가구 입주···서울은 7.1만가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