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지난 1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 5개월 만에 상승률이 2%대로 올라섰다.
탄핵정국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 등에 따라 고환율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는 국제유가도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다.
지난해 8월(2.0%)까지 2%대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1.6%) 1%대에 진입했고 10월 1.3%로 저점을 찍었다. 이후 11월 1.5%, 12월 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해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품목별로 보면 휘발유(9.2%), 경유(5.7%) 등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27%p(포인트) 끌어올렸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3.1% 올랐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올랐다. 기상악화에 따른 출하 물량 감소로 배추가 66.8% 뛰었고 당근 76.4%, 감 35.4%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비스 물가는 2.3% 올랐다. 집세는 0.6%, 공공서비스는 0.8%, 외식은 2.9%,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3.5% 각각 상승했다. 이 중 개인서비스 물가는 실손보험료 인상 등의 영향으로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 상승하며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지난해 7월(2.1%) 이후 2%대로 복귀했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이 중 신선어개는 0.9%, 신선채소는 4.4% 각각 올랐고 신선과실은 2.6%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