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가 2조61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3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7000억원 감소했다.
업권별로는 보험사 투자 잔액이 31조2000억원(55.3%)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 11조7000억원(20.7%), 증권 7조8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지역 투자가 35조2000억원(62.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럽 10조5000억원(18.6%), 아시아 3조9000억원(7.0%), 기타 및 복수지역 6조7000억원(11.9%) 등 순이었다.
내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4조6000억원(8.2%)으로 집계됐다. 2026년 만기가 18조2000억원(32.3%), 2028년 만기가 14조8000억원(26.2%), 2030년 만기가 5조8000억원(10.3%) 등이었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7000억원 중 2조6100억원(7.5%)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3월 말 대비 1100억원 증가한 수치다. 복합시설(1조5600억원), 오피스(7800억원) 등 투자에서 EOD가 주로 발생했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원금 미지급이나 담보가치 부족 등에 따라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EOD가 발생했다고 투자금 전액이 손실 난 것은 아니다. 투자자 간 대출조건 조정, 만기 연장 등으로 해결할 수 있고 자산 매각 시 배분 순위에 따라 투자금 일부 또는 전액을 회수할 수도 있다.
금감원 측은 "국내 금융회사 투자 비중이 높은 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개선이 지연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및 손실 확대 가능성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EOD 등 특이동향 사업장은 밀착 모니터링하고 금융회사의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