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선. (사진=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선. (사진=삼성중공업)

[서울파이낸스 김수현 기자] 지난달 한국 조선업계가 24척을 수주하며, 수주율 29%를 기록했다.

6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1월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387만CGT(124척)이며, 전년 동기 대비 20%가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114만CGT(24척, 29%), 중국은 236만CGT(73척, 61%)를 수주했다. 

척당 환산톤수를 비교하면 한국은 4.8만CGT/척을 기록한 반면, 중국은 3.2만CGT/척을 기록했다. 척당 환산톤수가 한국이 1.5배가량 높기에 한국이 고부가가치선 위주 수주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월까지 전세계 누계 수주는 6033만CGT(2159척)로 전년 동기 4451만CGT(2057척) 대비 36% 증가했다. 이중 한국 1092만CGT(248척, 18%), 중국은 4177만CGT(1518척, 69%)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62% 증가했다.

11월 전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49만CGT 감소한 1억 5223만CGT이다. 이중 한국 3777만CGT(25%), 중국이 8656만CGT(57%)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한국은 145만CGT 감소, 중국은 2208만CGT가 증가한 수치다.

11월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89.18로 10월(189.64) 보다 0.46 떨어진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작년 11월(177.07)에 비해 7%, 2020년 11월(125.06) 보다는 51% 상승한 수치다.

선종별 선가는 △LNG운반선 2억6000만불 △초대형 유조선(VLCC) 1억 2950만불 △초대형 컨테이너선(22~24k TEU) 2억7500만불을 나타내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