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수현 기자] 지난달 한국 조선업계가 24척을 수주하며, 수주율 29%를 기록했다.
6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1월 전세계 선박 수주량은 387만CGT(124척)이며, 전년 동기 대비 20%가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114만CGT(24척, 29%), 중국은 236만CGT(73척, 61%)를 수주했다.
척당 환산톤수를 비교하면 한국은 4.8만CGT/척을 기록한 반면, 중국은 3.2만CGT/척을 기록했다. 척당 환산톤수가 한국이 1.5배가량 높기에 한국이 고부가가치선 위주 수주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월까지 전세계 누계 수주는 6033만CGT(2159척)로 전년 동기 4451만CGT(2057척) 대비 36% 증가했다. 이중 한국 1092만CGT(248척, 18%), 중국은 4177만CGT(1518척, 69%)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62% 증가했다.
11월 전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49만CGT 감소한 1억 5223만CGT이다. 이중 한국 3777만CGT(25%), 중국이 8656만CGT(57%)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한국은 145만CGT 감소, 중국은 2208만CGT가 증가한 수치다.
11월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89.18로 10월(189.64) 보다 0.46 떨어진 보합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작년 11월(177.07)에 비해 7%, 2020년 11월(125.06) 보다는 51% 상승한 수치다.
선종별 선가는 △LNG운반선 2억6000만불 △초대형 유조선(VLCC) 1억 2950만불 △초대형 컨테이너선(22~24k TEU) 2억7500만불을 나타내고 있다.
- 태국 하원 국방위원장 일행, 한화오션 함정 건조 현장 방문
- 조선 3사, 연간 수주 목표 초과 달성 기대
- 한화오션·HD현대重, 글로벌 수주전 고배에 '코리아-원팀' 찾나
- 삼성重, 1조985억원 규모 컨테이너선 4척 수주···올해 수주목표 70% 달성
- HD현대, 부사장 5명 등 임원 74명 승진 인사
- HD현대重 "한화오션의 고발 취소, 늦었지만 다행"
- 삼성重, 판교 사옥 매각···"경쟁력 강화 및 재무구조 개선"
- [2024년 조선 결산] ②LNG선·FLNG 양날개로 성장·내실 모두 챙긴 삼성重
- 삼성重, 초대형 에탄 운반선 3척 수주···누적 73억불 수주
- 하락 전환한 해상운임, 물동량 해소로 한풀 꺾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