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KB증권은 디지털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고 새로운 차원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형 뱅킹(BaaS, Banking as a Service)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23일 밝혔다.
서비스형 뱅킹은 금융기관이 제3자(핀테크 등 비은행 기관)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수 있도록 계좌개설, 주식·금융상품 매매 등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하나의 솔루션처럼 만들어서 쉽고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지원한다.
KB증권은 디지털 생태계(Ecosystem)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서비스형 뱅킹을 주도하고, 이 시장의 프론티어로서 입지 강화를 위해 서비스형 뱅킹 플랫폼을 구축했다. 6개월에 걸쳐 구축한 KB증권의 BaaS는 전용 서버 총 12대 및 '싱크트리' 라는 OpenAPI 에 특화된 솔루션으로 이뤄졌다. 이를 통해 KB증권은 제휴 핀테크사 고객의 불편함을 줄이고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B2B방식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핀테크사가 요구하는 실시간 대량주문 및 조회, 트래픽 제어 기능 등 오픈 API 플랫폼에서는 불가능했던 서비스가 제공 가능해지면서 개선되는 사용자 경험(UX)으로 사용자 효익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B증권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오픈 API 인프라를 준비했고, 이를 바탕으로 핀테크사가 원하는 증권사의 제휴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서비스형 뱅킹(BaaS) 모델 수립이 필요성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비스형 뱅킹은 오픈 API방식처럼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외부에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금융회사가 서비스를 기능 단위로 모듈화하여 제휴회사에게 제공 가능하기 때문에 핀테크사 니즈에 맞춰 주도적으로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월 KB증권은 웰스가이드의 연금통합관리 앱 '마이머플러'에 오픈API를 탑재해 정식 오픈했다. 해당 앱은 계좌개설부터 자문까지 원스톱으로 연금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이는 디지털 기반의 업무 프로세스 혁신과 함께 제휴사에 BaaS의 서비스화를 도입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장승호 KB증권 디지털혁신본부장은 "외부 플랫폼을 통한 신규고객 확보에서 더 나아가 BaaS를 이용하는 기업들과의 제휴서비스 협력을 통해 핀테크사에게는 도약의 계기를 제공하고, KB증권은 제휴사와 함께 성장해 고객이 원하는 금융의 모습을 빠르게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 KB증권, 다문화 가정에 추석맞이 '情든든 KB박스' 전달
- KB증권, MZ세대 특화 'able Star+ 카드' 출시
- KB증권, 프라임클럽 '상담톡' 서비스 출시
- KB증권, 印尼 증권사 인수 추진···"동남아시아 진출 본격화"
- KB증권, 온라인 고객자산 30조 돌파···"MZ 고객 1년새 65%↑"
- KB증권, 4분기 임직원 대상 '소비자보호의 날' 특강 진행
- [이벤트] KB증권, '최대 5만원 주식쿠폰증정'
- KB증권, 리서치센터 신성장기업솔루션팀 신설
- [이벤트] KB증권 '해외선물 할인 수수료 및 캐쉬 증정'
- [CEO&뉴스] 박정림·김성현 KB증권 대표, 증권사 신흥강자로 '우뚝'
- KB증권, 'M-able 미니'에 ETF 매매·프라임 상담톡 서비스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