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등 미중 갈등이 격화하며 홍콩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매출 감소 등 피해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허브로서의 국제적 위상이 추락하며 일부 기업들의 탈(脫)홍콩 움직임도 감지되는 상황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홍콩에 있는 한국 기업 93개사 중 34개사를 대상으로 '미중 무역갈등과 홍콩보안법의 영향과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홍콩 진출 한국기업의 55.9%는 홍콩 국가보안법과 미국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이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응답 기업의 70.6%는 홍콩보안법 사태가 한국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미중 갈등의 격화로 올해 하반기 매출이 작년보다 평균 11.7%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응답 기업의 88.2%는 홍콩보안법 시행이 홍콩의 금융허브 지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이 홍콩에 대한 관세 특별혜택을 박탈할 경우 중개무역 거점으로서의 위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응답은 85.3%였다. 미국이 홍콩에 대한 관세혜택을 거두게 되면 대미 수출품은 최고 25%의 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이 가운데 홍콩을 대체할 아시아 금융허브로는 싱가포르(88.2%)가 가장 많이 꼽혔다. 서울이나 부산 등 한국을 선택한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미중 무역갈등의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절반(50.0%)이 미국과 유럽의 대중국 제재를 살펴보고 판단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41.2%는 홍콩의 위상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고, 홍콩을 통한 중국 우회수출을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8.8%였다.
전경련은 일부 글로벌 기업의 '탈(脫) 홍콩'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에 응답한 홍콩 진출 한국 기업의 글로벌 거래처 중에서 이미 홍콩에서 철수했거나 철수 예정인 기업은 약 20.6%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기업들이 홍콩을 떠나는 원인으로는 '금융허브로서의 국제적 위상 추락(47.0%)'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중개무역 거점으로서 혜택 박탈(29.4%), 중국 수출기지로서의 역할 곤란(5.9%), 주요 거래기업의 홍콩탈출 확산(5.9%) 등 순이었다.
홍콩에 진출한 우리 기업 중 응답 기업의 67.6%는 홍콩 보안법 시행 이후 미중 갈등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봤다. 이 가운데 58.8%가 미국의 단계적인 제재와 중국의 맞대응이 지속되며 점진적으로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급속히 악화된다는 응답은 8.8%였다.
반면 미중 무역갈등이 완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32.4%에 그쳤다. 코로나19 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침체로 미중 무역갈등이 억제될 것이라는 응답이 20.6%, 미중 양국이 상호의존적 경제구조로 대립을 자제할 것이라는 응답이 11.8%를 차지했다.
- 전경련 29층 KB국민은행 외주 직원 확진자 1명 발생···누적 3명
- "홍콩보안법, 亞금융중심지 패권 흔든다" 韓전략은···포럼 23일 개최
- 전경련 "美, 항공업살리기에 30조 지원···韓, 3조 수준"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언택트 산업 육성·선점해야"
- "코로나19에 외국인 투자 2분기 이후 급감할 듯"
- 전경련 "항공운송망 훼손돼 수출도 타격···항공업계 살려야"
- 글로벌 경제단체, 기업인 이동보장·경제 활력 조치 각국에 건의
- "외환·금융위기 보다 심각···한시 규제유예 필요"···경제계 '긴급제언'
- 전경련 "대기업 51%, 가장 중요한 사외이사 역량은 '전문성'"
- 전경련 "韓 경제자유지수 25위로 상승···자율성은 위축"
- 전경련 "韓경제, 코로나19 이후 中 의존도 더 커졌다"
- '코로나19 여파' 100대 기업 2분기 해외매출 20% 감소
- "베트남 하늘길 열린다"···한-베 경제협력 '속도'(종합)
- 전경련 "코로나19로 국가산단 생산·수출 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