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내는 은행 '공동점포'···점포 축소 대안으로 부상
속도 내는 은행 '공동점포'···점포 축소 대안으로 부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하나銀, 4월 중 첫 공동점포 선봬
국민·신한銀 공동점포도 상반기 중 개점
은행 ATM (사진=서울파이낸스DB)
은행 ATM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거센 디지털 바람이 불고 있는 은행권이 '공동점포'에서 대안을 찾고 있다. 임대료 등 비용이 큰 영업점을 줄여나가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점포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금융소외계층을 만들지 않으려는 자구책으로 공동점포를 선택한 모습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오는 4월 중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첫 공동점포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 건물 내 같은 층에서 두 은행이 점포를 공유하는 형태로, 우리은행 신봉지점 2층이었던 공간을 각 은행이 절반씩 사용하기로 했다.

임차료 등 운영 비용은 두 은행이 함께 부담하기로 했으며, 세부적인 운영방식이나 근무 인원 등은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내달 이 점포가 개점하면 국내 은행권에서는 첫 공동점포가 된다. 그간 은행권은 공동점포 운영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으나, 책임소재가 분명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이렇다 할 결과물을 내지 못했다.

이번에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점포 감소로 인한 디지털 소외계층의 불편함을 고려해 공동점포를 운영하자는데 의견이 모였다. 점포가 들어서는 지역은 하나은행이 지난해 9월, 우리은행은 지난해 12월 점포를 폐쇄하면서 두 은행의 지점이 없는 곳이다.

두 번째 공동점포는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낼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안으로 경북 영주 등에 공동점포를 설치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으며, 지점 규모 등을 막바지 검토 중이다. 유의미한 수익성이 나오지 않더라도 지점 축소의 대안으로 공동점포를 추진하겠다는 게 은행들의 한목소리다.

이처럼 공동점포 관련 움직임이 본격화한 건 최근 가속화하고 있는 은행의 점포 다이어트와 맞닿아 있다. 금융환경이 비대면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점포를 줄여나가는 추세다. 2015년 말 기준 7281개였던 국내 은행권의 점포 수는 지난해 상반기 기준 6326개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의 입출금거래에서 비대면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70.9%에 달한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이용한 은행 거래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이 비중은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중이다.

이에 업계에선 임대료 등 비용 부담이 큰 기존 영업점 대신 공동점포를 비롯해 편의점이나 우체국 등 새로운 영업점 모델을 찾기 위한 실험이 활발해질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오프라인을 찾는 금융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점포 효율성을 높이려는 행보다.

공동점포와는 별개로 이르면 올해 안에 우체국에서도 은행 업무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과 우정사업본부, 금융위원회는 우체국이 단순 은행업무를 대행할 수 있도록 우체국의 모든 지점과 창구를 제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세부 방안에 최종합의하면 우체국 전 지점에 은행 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시스템 연계 등 작업에 나서게 된다.

권용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금융 환경이 온라인 기반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공동점포는 개별 금융사가 아닌 전 은행권이 공동으로 대응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향후 국내은행들은 점포 효율화 흐름 속에 비용 절감과 금융소비자 편의를 함께 실현하는 공동점포 운영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