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대 중점분야 정책금융 91兆 공급
정부, 5대 중점분야 정책금융 91兆 공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책금융지원협의회 개최···3조 혁신성장펀드 조성
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금융당국이 5대 중점전략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공급목표를 기존 81조원에서 91조원으로 10조원 확대한다. 또 미래신산업 육성과 벤처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혁신성장펀드도 총 3조원 규모로 조성한다.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22일 산업정책 관계부처 및 정책금융기관과 제2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선 △글로벌 초격차산업 육성 △미래유망산업 지원 △사업재편 및 산업구조 고도화 △유니콘 중소·중견 육성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경영애로 해소 등 5대 중점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공급 규모를 91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5대 중점분야에 △항공우주 △탄소소재 △양자기술 △방위산업 △농식품신산업 △탄소중립 플라스틱 △탄소중립 시멘트 등 7개 산업을 지원 대상으로 추가 선정한 데 따른다.

협의회 결정을 통해 추가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7개 산업 기업들은 이날부터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3개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즉시 자금지원 신청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올해 총 3조원 규모의 혁신성장펀드 조성 계획도 밝혔다. 펀드는 신산업 육성 및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혁신산업 펀드(1조5000억원)와 글로벌 유니콘 벤처 육성을 위한 성장지원 펀드(1조5000억원)으로 나뉜다. 혁신성장펀드는 오는 4월 초까지 모펀드 운용사 2곳을 선정하고, 6월 초까지 자펀드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혁신산업 펀드를 통해서는 혁신성장공동기준 분야 및 신성장4.0 등 국가전략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세부적으로 혁신성장공동기준 품목에 해당하는 기업에 결성액의 60% 이상을 투자한다. 또 글로벌 초격차산업 및 미래유망산업 분야에 정책자금 출자금액 이상을 투자한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서도 결성액의 60% 이상을 투자한다.

성장지원 펀드를 통해서는 민간자본 조성이 부진한 '성장 중·후기 단계'에 집중 투자, 글로벌 유니콘기업으로의 도약을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창업 후 3년 이상 경과한 성장단계 중소·중견기업에 결성액의 60% 이상을 투자한다. 성장 중기단계에 해당하는 '투자 전 기업가치' 500억원 이상 중소·중견기업에도 결성액의 60% 이상을 투자한다.

이와 함께 재정투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규모의 정책펀드 자금이 조성될 수 있도록 민간자금 모집 유인을 높인다. 민간자금 유치를 위해 재정의 후순위출자에 의존하기보단 추가 성과보수 등 다양한 유인체계를 활용한다. 재정출자 비중은 10% 내외로 유지하고, 재정의 후순위 출자는 정책목적성이 강한 분야(혁신산업 펀드)를 중심으로 재정출자액 비중을 10~15%로 운영한다.

금융당국은 또 정책금융기관의 신산업·유망산업 자금공급 기준인 '혁신성장 공동기준'도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새롭게 개편한다. 공동기준은 협의회에서 논의된 국가전략산업과 연계성을 강화하고, 공동기준 의사결정 참여 주체도 소관 협회 등으로 넓히기로 했다. 개편된 혁신성장 공동기준은 다음달 1일부터 혁신성장정책금융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책금융기관뿐 아니라 시중은행 등 민간금융권도 혁신성장 공동기준 분야 금융지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혁신성장 공동기준 분야 품목·산업·기업 정보가 집중된 신용정보원 혁신성장금융정보망(IGS) 참여기관을 정책금융기관 외 민간 금융회사까지 확대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혁신성장 분야 기업에 대한 여신심사 핵심인프라인 IGS 정보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향후 시중은행 등 민간금융권의 혁신성장 분야 자금공급이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시중은행 가운데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혁신성장 공동기준 분야 전용 우대대출 상품을 출시했으며 올해 총 2조2500억원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날 협의회에 참석한 김 부위원장은 "앞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제 현안에 대응하고 새로운 산업전략에 대한 신속한 금융지원이 가능하도록 정책금융지원협의회가 중점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