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사모펀드 정치권 개입의혹 확실히 규명해야
[기자수첩] 사모펀드 정치권 개입의혹 확실히 규명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태동 기자] "일반적인 케이스가 아니니 의혹을 투명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조치가 필요하다"

환매 중단으로 논란이 된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 설계·운용을 맡은 디스커버리자산운용과 해당 펀드를 대규모 판매한 국책은행 IBK기업은행을 두고 금융투자업계 내부에서 나오는 말이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 4월 전문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신생 운용사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해당 펀드를 판매했다. 그러나 이 펀드의 미국 운용사인 다이렉트 렌딩 인베스트먼트(DLI)가 실제 수익률과 투자 자산의 실제 가치 등을 허위 보고한 것이 지난해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적발돼 고발당했고, 투자금 전부 환매 중단됐다. 피해 금액은 695억원, 피해자들은 약 200명에 달한다. 

증권업계 일각에서는 신생 운용사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급성장한 배경에 주목하는 한편, 기업은행에서 대규모 판매된 정황에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미래한국당 김종석 의원(정무위원회)이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판매 현황'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펀드를 5800억원 넘게 팔았다. 가입자 수도 1975명으로 가장 많았다.

2019년 말 기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자산총계는 44억원, 업계 순위는 167위다. 기업은행 판매 상위 10개 운용사 중 가장 작다.

특히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장하원 대표가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 대사의 동생이라는 점에서 '정권 실세 입김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를 두고 기업은행은 적합한 절차를 거쳐 상품 심사가 진행됐으며 정권 실세 영향 의혹은 시기상 맞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 운용사로부터 '디스커버리 US핀테크 글로벌 채권펀드' 상품을 제안받고 평가가 진행된 시기는 지난 2016년 12월 박근혜 정부 때이며, 최종 판매된 시기도 2017년 4월로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임명 전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의혹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금융기관의 정치권 개입설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앞서 발생한 라임사태에서도 전 청와대 행정관의 이름이 언급되면서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반복되는 논란은 금융기관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도를 떨어트리고, 혼란을 가중시킨다. 수사 과정에서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나 정치권 관계자 등과 금융기관의 연결고리가 나타난다면 사건의 파급력은 더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투자자들의 혼란을 가라앉히기 위해선 우선 발생된 사건에 대해 수사기관들의 명확한 조사가 필요하다. 정치권 개입 등의 실체를 조사하고 발표하면서 투자자들간의 의혹을 투명하게 해소해야 한다.

연이어 터진 환매중단으로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거세다. 당국과 금융기관의 전면적 쇄신이 필요할 때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