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향후 10년은 기술·산업구조 대전환기"
이주열 한은 총재 "향후 10년은 기술·산업구조 대전환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일 오후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0 범금융신년인사회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일 오후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0 범금융신년인사회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지난 10년이 세계화와 정치·경제 지형의 격동기(激動期)였다면, 앞으로의 10년은 인구구조와 기술·산업구조의 대전환기(大轉換期)가 될 것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범 금융권 신년인사회'에서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기회요인을 포착하고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면 금융산업이 우리 경제의 미래를 밝히는 든든한 선봉장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자연인구의 감소와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 등 인구구조 변화는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점점 더 피부에 와 닿을 정도로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고령층이 생애에 걸쳐 축적한 자산을 어떻게 관리하고 운용할 것인가에 따라 우리 경제의 미래 모습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면서 "축적된 자원이 혁신·신성장 부문으로 배분돼 성장동력 확충에 쓰일 수 있도록 금융산업이 물꼬를 터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로 금융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크게 변화되는 가운데 기술기업의 도전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며 "기술기업과의 혁신 경쟁은 금융서비스의 폭과 깊이를 더해 나가는 동시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이 총재는 "한은도 변화된 경제 여건 하에서 우리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체계를 점검하고 금융산업의 혁신을 적극 지원토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