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성패 우수인력확보에 달려
금융산업 성패 우수인력확보에 달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한국증권업협회©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김주미 기자]<nicezoom@seoulfn.com>황건호 한국증권업협회 회장은 지난 19일 미국 뉴욕 소재 코리아 소사이어티(Korea Society)가 주최한 정책포럼에서 '전환기의  한국 자본시장'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이날 포럼에는 월가 등 미국내 한국시장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하는 등 한국 자본시장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황 회장은 “자본시장통합법 제정으로 한국은 선진 자본시장으로의 도약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국 증권업계는 다음의 세 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황 회장이 말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형 증권사들은 글로벌 투자은행들과의 경쟁을 위해 대형화를, 중·소형 증권사들은 자신의 특화된 업무부문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화·특화에 힘쓰고 있다. 
둘째, 금융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핵심 전문인력은 금융선진국에 비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셋째, 수익원 다변화를 위해 이머징마켓 진출노력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 국제화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머징 마켓 분야는 세계 유수의 IB사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한국 증권사들이 비교우위가 있다.

황 회장은 무엇보다 금융전문인력 양성 및 중요성과 관련해 “한국 자본시장은 무한한 성장의 가능성이 있지만,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자본, 인프라, 인력의 3요소가 고루 갖춰져야 한다"며 "현재 한국 자본시장은 풍부한 유동성과 자본시장통합법 제정 등으로 자본과 인프라는 갖춰 가는 상황이지만 금융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우수 인력 면에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황 회장은 “자체적인 고급인력 양성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현재 해외 유수의 글로벌 금융회사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우수한 한국 인재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십분 활용한다면 과거 제조업 분야에서 이루었던 성공 신화를 우리 금융산업에서도 반드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회장은 또 “앞으로 우리 국민소득을 3~4만불 수준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한국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자본시장과 금융산업이 제공해야 한다”며 포럼 참석자들에게 한국 자본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요청했다.   

한편, 황 회장은 코리아 소사이어티 강연에 앞서 지난 18일 세계자본시장에서 약 8,000여개의 글로벌지수를 발표하고 있는 MSCI Barra사를 방문해 헨리 페르디난데즈 사장과 면담했다. 황 회장은 한국자본시장 펀더멘털의 건전성과 최근의 금융시스템 개혁 노력을 설명하고, 한국증권시장의 선진국지수 편입 방안 등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또, 황 회장은 10월 22일 오전에는 최근 미국증권업협회와 뉴욕증권거래소 규제기관이 합병해 설립된 증권산업규제기관 FINRA의 메리 샤피로 회장과 방문한다. 이 자리에서 황 회장은 자통법 시행을 앞두고 한국 자본시장의 자율규제 및 투자자보호 시스템 선진화 노력 등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양기관간 긴밀한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 할 예정이다.
 
김주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