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2Q 영업손실 2281억···"투자 규모 3조원 축소"
LG디스플레이, 2Q 영업손실 2281억···"투자 규모 3조원 축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CD패널 판가 하락 원인···OLED 사업구조 전환 가속
2018년 2분기 실적 요약 표.(표=LG디스플레이)
2018년 2분기 실적 요약 표.(표=LG디스플레이)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LG디스플레이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대폭 하락했다. 액정표시장치(LCD)패널 판가의 급격한 하락과 세트업체들의 보수적 구매 진행으로 인한 출하 감소가 크게 작용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2분기 매출 5조6112억원, 영업손실 2281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매출은 6조6289억원이었던 전년 동기 대비 15% 전 분기 5675억원 대비 1%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3005억원으로 적자전환 했다. 감가상각전영업이익(EBITDA)는 6809억원(EBITDA 이익률 12%)을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의 2분기 매출액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이 판가 하락폭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비중 확대로 전 분기 대비 1% 감소한 42%, 모바일용 패널이 22%, 노트북 및 태블릿용 패널이 19%, 모니터용 패널이 17%를 차지했다.

LG디스플레이의 주요 재무지표는 부채비율 116%, 유동비율 99%, 순차입금비율 30%이며, OLED로의 사업구조 전환을 위한 투자 재원의 전략적 차입 증가에 따라 부채비율 및 순차입금비율이 상승했다.

전망도 부정적이다. LG디스플레이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OLED로의 사업구조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대규모 투자금 확보를 위한 수익창출 등 체질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다.

LG디스플레이는 앞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적 공급 과잉 및 경쟁 구도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보고 대대적인 사업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LCD 부문은 정보통신(IT)의 내로우 베젤(Narrow Bezel), IPS 보더리스(Borderless), 옥사이드(Oxide)등 차별화 기술 및 TV의 초대형, 상업용(Commercial) 등 고부가 중심 제품 운영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OLED 부문은 3분기 중 OLED TV 흑자 전환을 목표하고, 파주의 10.5세대 투자도 OLED에 집중한다. 내년 하반기 양산 예정인 중국 8.5세대 OLED 공장과 더불어 대형 OLED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김상돈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3분기 면적기준 출하량은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판매량 증가 예상으로 전 분기 대비 한 자릿수 중반 증가하고, 판가는 전 분기 대비 일부 상승세가 나타나지만 크기별 수급에 따라 상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LG디스플레이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OLED로의 사업구조 전환을 지속하되, 투자 시기와 규모를 조정하여 2020년까지 약 3조원을 축소하여 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