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문화콘텐츠에 5.5조 정책자금 공급
금융권, 문화콘텐츠에 5.5조 정책자금 공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만개 기업·프로젝트 지원…'크라우드펀딩 마중물 펀드'도 조성

▲ 표=금융위

[서울파이낸스 정초원기자] 금융권이 문화콘텐츠 분야에 올해 5조5000억원이 넘는 정책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약 1만개의 콘텐츠기업이나 프로젝트를 지원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문화콘텐츠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문화콘텐츠 산업 금융지원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KDB산업은행·IBK기업은행·수출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은 문화콘텐츠 및 문화콘텐츠 융합산업에 작년보다 10% 늘린 5조5000억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대출이 2조2000억원, 보증은 3조1000억원, 투자가 2000억원이다.

이를 통해 1만여개의 콘텐츠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금융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캐릭터와 애니메이션 분야의 지원비중은 2018년까지 15% 이상으로 늘어난다.

금융위는 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 가치평가 모형을 활용해 여신심사 방안을 마련하고, 문체부 모태펀드 문화계정에 '콘텐츠 가치평가 연계펀드'를 200억원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올 상반기에는 IBK기업은행을 통해 크라우드펀딩 마중물 펀드를 1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이 펀드는 콘텐츠기업의 크라우드펀딩 청약 개시 단계에서 모집액의 10~15%를 선제적으로 투자하게 된다.

또 '기업 투자정보 마당'에 콘텐츠산업에 특화된 '문화콘텐츠 기업정보 마당'을 설치하고, 콘텐츠진흥원과 정책금융기관이 연간 500개의 유망 콘텐츠기업 또는 프로젝트를 추천하기로 했다.

아울러 문화창조융합벨트와 금융권의 협업을 강화해 콘텐츠 제작 단계부터 맞춤형 금융상담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IBK기업은행은 문화콘텐츠 거점 영업점을 60개에서 70개 확대할 계획이다. 기술보증기금은 문화콘텐츠 금융센터를 1개에서 3개로 늘린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문화창조융합벨트 내 문화창조벤처단지에 참석해 김종덕 문체부 장관과 문화콘텐츠 금융지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에는 △'문화콘텐츠 기업정보 마당' 마련 △정책금융기관의 문화콘텐츠 특화점포 확대 △크라우드펀딩 마중물 펀드 조성 △문화창조벤처단지에 금융상담 지원을 위한 '문화창조 금융존' 운영 등의 내용이 담겼다. 

임 위원장은 "문화콘텐츠산업은 다른 산업에 문화의 옷을 입혀 새 수요를 창출하는 21세기 연금술"이라며 "이번 MOU가 문화융성에 금융정책의 날개를 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