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대부업, 고객정보 공유 놓고 '대립각'
저축銀-대부업, 고객정보 공유 놓고 '대립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실률 낮춰 금리인하" vs "저신용자 금융소외 심화"

[서울파이낸스 박윤호기자] 고금리 신용대출에 대한 금리인하 압박을 받고 있는 저축은행들이 대부업 이용자의 고객신용정보(CB) 공유 없이는 금리인하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대부업체들도 이용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적극 반발하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대부업 이용자의 CB 공유가 이행되면 부실률이 낮아질 여지가 있어 금리인하를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현재 대부업 이용자 CB의 경우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인 은행연합회에 집중되고 있는데 이는 카드사와 저축은행을 포함한 다른 업권에는 공유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고금리 신용대출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저축은행들은 저신용자의 유입으로 부실률이 높아 현재로선 금리인하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CB 공유가 가능하면 상환 능력이 낮은 고객을 대출시 선별할 수 있어 부실률을 낮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한국대부금융협회 관계자는 "사실상 CB 공유가 이뤄지면 대부업을 이용하거나 했던 사람들은 피해를 당할 수밖에 없다"며 "대부업을 이용하던 고객들은 신용등급이 크게 떨어지고 은행, 카드, 저축은행 등 상위 금융권 이용이 제한될 위기에 놓인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들이 CB 공유를 해야 한다는 주장은 대부업을 이용하는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를 상대로 부도덕한 고금리 영업을 자행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며 "2%대의 수신혜택을 받고 있는 저축은행이 30%대의 저신용자를 상대로 고리대출 영업을 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대부협회에 따르면 현재 대부업을 이용하는 고객 중 80% 수준이 저축은행을 중복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규모는 대부이용액 약 7조원, 제도권 금융 20조원 수준이다. 이 때문에 CB 공유에 찬·반 대응이 고객 빼앗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실질적으로 4~6등급의 우량 고객은 저축은행에 오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저신용등급의 고객이 늘어날수록 부실률을 높게 측정해 금리인하가 힘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타 금융권에서 대부업 CB를 볼 수 없는 건 형평성과 업계를 위해서도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선량한 대출자의 이자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CB 공유는 이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