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 장애인 고용 '미온적'···부담금만 '207억원'
주요 은행, 장애인 고용 '미온적'···부담금만 '207억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 은행, 장애인 의무 고용률 대부분 '미흡'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사옥 전경 (사진=각 사)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사옥 전경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들이 장애인 고용을 외면해서 납부한 부담금이 200억원을 넘어섰다. 이들 은행 대부분은 장애인 의무 고용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은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 등 6개 은행의 지난해 장애인 의무 고용 현황을 파악한 결과, 이들 은행 중 기업은행을 제외하고 장애인 의무 고용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납부한 장애인 고용 부담금은 총 206억9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지난해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45억원 내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은행(44억8000만원), 우리은행(43억5000만원), 하나은행(39억6000만원), 농협은행(30억9000만원), 기업은행(3억1000만원) 순이었다.

지난해 기준 장애인 의무 고용률은 국가와 지자체, 공공기관은 전체 인력의 3.6%, 민간기업은 3.1%다. 공공기관인 기업은행의 의무 고용률은 3.6%, 시중은행은 3.1%를 맞춰야 한다는 의미다.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하나은행이 0.87%로 가장 저조했고 신한은행도 0.91%로 1%를 넘지 못했다. 우리은행(1.00%)과 국민은행(1.39%), 농협은행(1.74%)도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이 1%대에 머물렀다.

기업은행만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이 3.42%로 의무 고용률에 근접했다.

지난해 이들 은행의 장애인 직원은 기업은행이 436명으로 가장 많았고 농협은행이 284명, 국민은행이 227명, 우리은행이 131명, 신한은행이 118명, 하나은행이 97명이었다.

금융당국은 은행 등 금융사들에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장애인 등 취약계층 고용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개선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창현 의원은 "금융업과 은행에는 장애인이 재택근무로도 수월하게 해낼 수 있는 다양한 업무가 있다"면서 "은행들은 모집공고를 내고 지원서를 기다리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장애인 교육기관을 찾아다니면서 인재를 발굴하는 노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