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發 경기침체 금융위기보다 심각"···전문가 비관론 '속속'
"코로나19發 경기침체 금융위기보다 심각"···전문가 비관론 '속속'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태 장기화 시 각국 금융시장 안정책 효과 기대 어려워"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지 않는다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각한 경기침체가 야기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떄문에 향후 각국 정부가 추가로 금융시장 안정책 등 강력한 정책을 펼칠 수도 있지만, 이 역시 코로나19 진정이 전제돼야 효력이 나타날 것이란 지적이다.

19일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발현한지 3개월이 가까워 지고 있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공격적 경기 부양책에도 금융시장 현상은 진정은 커녕 되레 악화하는 형국이다. 극단적 불확실성으로 시장 참여자들은 위험자산이든 안전자산이든 상관없이 매도를 통한 현금화에 나서고 있다.

박상현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버금가는 각종 정책이 쏟아지고 있음에도 현금화 수요만 강해지는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발 여파로 경기 침체 폭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박 연구원은 "선진국 내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진정되지 못하면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심각한 경기 침체 현상, 소위 심각한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1~2월 중국이 보여준 경제지표가 이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산업생산과 투자, 소비 지표가 과거 경험하지 못한 두 자릿수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경험하지 못한 지표의 충격은 미국이나 유로존 지표에서 잇따를 가능성이 높다는 게 박 연구원의 판단이다.

앞서 JP 모건은 올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기비연율 -14%로 추락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분기 미국 GDP성장률이 -8.4%였음을 감안하면 2배 가까운 감소 폭이다

그는 "미국과 유럽이 사실상의 봉쇄 정책을 추진하면서 제조업 가동이나 소비가 2월 중국처럼 마비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3∼4월 경제지표 추락 폭을 가늠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내놓을 수 있는 금융시장 안정책과 경기 부양책이 실시되고 있고, 추가로 더욱 강력한 정책이 나올 수 있다"면서도 "이 같은 정책의 약효가 나타나기 위해선 코로나19 진정이 전제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