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노조 "본점 이전 시 국가경제 15兆 손실···거래처 84% 반대"
산은 노조 "본점 이전 시 국가경제 15兆 손실···거래처 84% 반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재무학회, 재무적 파급효과 '용역보고서' 발표
"기관 10년간 손실예상액 7조···지역균형 효과 없어"
김이나 한국재무학회 책임연구원이 31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산업은행 부산 이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 발표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업은행 노조)
김이나 한국재무학회 책임연구원이 31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산업은행 부산 이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 발표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업은행 노조)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산업은행 본점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재무적 손실이 10년간 7조원에 달할 것이란 한국재무학회의 분석이 나왔다. 이는 산업은행 기관 한정 손실 규모로, 국가 경제에 미치는 손실까지 고려하면 규모는 15조5000억원 수준으로 확대된다.

여기에 산업은행과 거래하는 고객기업 및 협업기관의 84%가 본점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등 거래처 이탈 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산업은행 노동조합과 한국재무학회는 31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이같은 내용의 '산업은행 부산 이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사측의 본점 이전 추진에 대응하고자 노조에서 진행한 것이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 27일 외부 회계법인을 통해 진행한 '본점 이전 계획안'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은행의 모든 기능을 100%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확정한 후 금융위원회에 보고한 바 있다. 노조는 사측의 컨설팅 용역에 맞춰 올해 2월 재무학회에 산업은행 이전에 따른 경제 파급효과 분석을 의뢰했다.

재무학회는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10년간 6조5537억원의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2조5000억원이었던 연수익은 10년 후 1조7000억원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예상됐는데, 해당 기간 동안 줄어든 수익만 6조5337억원으로 추정됐다. 수익 감소 요인으로는 △절대적으로 적은 동남권(부울경) 기업·인프라 △기존 고객 거래 중단 △신규 딜 배제 △인력이탈에 따른 금융전문성 약화 등을 제시했다.

여기에 본점 이전으로 예상되는 추가 비용만 10년간 4702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 감소 추정치(6조5537억원)까지 합하면 산업은행 이전에 따른 손실 예상액만 7조39억원에 달한다. 추가 비용 발생 요인으로는 △신규 사옥 건립(1810억원) △주거 공급 및 정착 지원비 △퇴직금 및 인력 충원 △업무구조 재·개편 및 출장지원 등이 꼽혔다.

김이나 한국재무학회 책임연구원은 "업무부서별 수익 감소분은 대내외 설문조사를 통해 집계된 거래처 이탈률과 직원 퇴사 영향 등을 반영해 산출했고, 외부 금융기관 등 네트워크가 중요한 PE, 트레이딩 등의 부서는 소통 감소 예상 비율 등을 추가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재무학회 소속 박래수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본사를 이원화해 인력의 50%만 부산으로 부분 이전하는 경우에도 전체 이전 시 손실의 약 70%에 해당하는 손실이 수반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산업은행 손실은) 수도권 대비 동남권에 절대적으로 적은 금융기관 및 기업고객, 기존 기관들과의 거래 중단 등 금융네트워크 약화, 인적 경쟁력 저하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의 이전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재무적 손실은 15조4781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부산 이전 시 발생하는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마이너스(-) 16조7233억원인 반면, 새롭게 창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1조2452억원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더구나 부산 이전에 따른 이익의 상당 부분(78%)이 동남권에 집중, 지역균형발전 효과도 크지 않다는 게 재무학회의 분석이다.

산업은행 고객기업과 협업기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대부분의 거래처가 부산 이전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가 지난달 산업은행 고객기업 또는 협업기관 직원 9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거래처의 83.8%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의견은 5.6%, 보통(중립)의견은 10.6%였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으로 업무에 불편이 생기면 다른 금융기관과 거래할 의향이 있다는 답변도 72.6%에 달했다. 이중 42.5%는 '매우 그렇다'고 답변했다. 부산 이전 시 기존 고객의 이탈 규모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배경이다.

반면, 부산으로 이전한 산업은행을 따라 부산으로 이전할 것이라 답변한 기업은 1.7%에 불과했다. 93.9%는 따라서 이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산은을 따라 다수 기업들이 부산에 자리를 잡을 것이란 부산시·경제계 등의 주장에 배치되는 결과다.

이날 발표회에 참석한 조혜경 금융경제연구소장은 "금융중심지는 금융산업이 공간적으로 집정해서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며 "정부가 인위적으로 특정 지역에 금융공기업을 몰아서 금융중심지가 만들어졌던 것은 역사적으로 전례도 없고 금융산업 특성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현준 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강석훈 회장을 향해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한 공개 토론회를 제안하면서 "노동조합은 사측과 정부가 마땅히 검토했어야 할 기관 및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해 국책금융기관으로서 국익을 생각하고 맡은바 소명을 다하고자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