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비 폭탄' 국책銀…올해 리스크 관리 나서나
'대손비 폭탄' 국책銀…올해 리스크 관리 나서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서울파이낸스DB

지난해 부실기업 영향…산업은행 적자 1조원대

[서울파이낸스 정초원기자] 지난해 국책은행들이 대규모 대손비용을 떠안게 되면서, 올해는 정책금융기관들도 보수적인 리스크 관리가 불가피해졌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특수은행 5곳이 지난해 9000억원 규모의 적자를 냈다. 경남기업, STX조선해양 등 부실기업 지원을 국책은행이 떠안은 데 따른 결과다.

그중에서도 아직 실적 발표를 하지 않은 KDB산업은행은 1조원 중후반대에 달하는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은행이 이처럼 대규모 손실을 낸 것은 지난 2013 STX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1조4474억원의 적자를 쌓은 데 이어 두번째다. 이번에는 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의 회계절벽 사태도 영향을 미쳤다.

금융권에서는 시중은행이 부실기업 지원에서 점차 발을 빼고, 국책은행이 이른바 '독박'을 쓰는 구조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금융당국도 '밑빠진 독에 물 붓기'식으로 한계기업을 지원하는 것보다는 회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을 과감하게 판단해 정리하는 게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부실 대기업 구조조정에 국책은행이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책은행의 한계 대기업에 대한 대출 비중은 2010년 4.6%에서 2014년 12.4%로 늘었다.

또 2008년 이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대기업이 한계기업으로 판단됐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1.3년이 흐른 뒤에야 워크아웃을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국책은행들이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과도한 금융지원을 실시해, 구조조정 시점만 늦췄다는 지적인 셈이다.

이에 국책은행들은 올해 정책자금규모를 줄이고, 심사를 강화해 부실 가능성이 높은 대출은 자제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우선 산업은행은 올해 자금공급 목표액을 전년에 비해 2조원 줄어든 61조원으로 책정했다. 수출입은행도 전년 대비 5조원 줄어든 75조원의 정책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한계기업 정리를 더 과감하게 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산업은행의 새 수장으로 취임한 이동걸 회장도 "기업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지난해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잠재적 부실요인으로 인해 재무구조가 나빠질 우려가 있다"며 "한계기업에는 과감한 결단을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단행한 조직개편에서도 '리스크 관리'에 방점을 찍은 분위기는 역력하다. 부실기업으로 새어나가는 자금을 막기 위해 여신심사 기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산업은행은 이번 조직개편에서 기존 산업분석부 분석업종을 확대하고, 신용평가부를 신설했다. 그간 영업부문 부행장이 맡아왔던 기업대출 심사는 심사평가부문장이 전결권을 갖도록 했다.

수출입은행도 여신 관리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여신감리팀'을 신설하고, 여신감리를 중장기 여신 부문과 산업별 여신 부문으로 확대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