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 성장률 2.0%·내년 2.3%·내후년 2.4% '완만한 회복'
한은, 올 성장률 2.0%·내년 2.3%·내후년 2.4% '완만한 회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 IB 1%대 후반 전망보다 높아···"수출·설비투자 개선세"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0%로 제시했다. 지난 7월 전망률 과 비교하면 0.2%p 낮췄지만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제시한 1%대 후반 전망보다는 낙관적이다. 아울러 내년과 내후년에는 2.3%, 2.4%로 점차 높아질 것으로 봤다.

경기도 의왕ICD(내륙컨테이너기지) 제2터미널에 빈 화물열차가 멈춰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의왕ICD(내륙컨테이너기지) 제2터미널에 빈 화물열차가 멈춰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은은 29일 '2019년 11월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올해 성장률은 2.0%, 2020년 성장률은 2.3%로 제시했다. 2021년은 2.4%다. 지난 7월 전망치(연 2.2%, 2.5%)보다 각각 0.2%p 하향조정한 수치다. 다만 당초 ING그룹(1.6%), 노무라증권(1.8%), 씨티그룹(1.8%), 모건스탠리(1.8%), BoA메릴린치(1.8%) 등 해외 IB들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1%대 후반까지 내린 것과 견주면 여전히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성장률이 2%보다 낮았던 해는 1956년(+0.7%), 1980년(-1.7%), 1998년(-5.5%), 2009년(+0.8%) 등 네 번뿐이다. 제2차 석유파동(1980년), 외환위기(1998년), 금융위기(2009년) 등 하나같이 세계적 차원의 경제 충격이 있을 때 발생했던 현상이다.

한은 관계자는 "재정정책이 확장적으로 운용되는 가운데 설비투자와 수출이 개선되고 민간소비도 내년 하반기 이후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후 연 기자 간담회에서 "국내경기 흐름에 대해서는 조심스럽지만 바닥을 다져가는 모습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하향조정을 면치 못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0.7%에서 0.3%P 낮춘 0.4%로 제시했다. 내년과 내후년에는 각각 1.0%, 1.3%로 올라설 것으로 봤다.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을 보여주는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전망치는 올해와 내년 모두 0.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 내년 중에는 수요측 물가압력이 약하고 복지정책 기조도 이어지겠으나 공급측 물가하방압력이 완화되면서 올해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에는 경기 개선, 정부정책의 영향 축소 등으로 내년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내년 민간소비는 소비심리 개선, 정부의 이전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완만한 개선세를 나타낼 것으로 봤다. 구체적인 내년 민간소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4%에서 2.1%로 낮췄다. 올해(수정 전망 1.9%)보다 내년이 조금 나아지는 수준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투자가 개선되면서 정보통신(IT) 부문을 중심으로 내년 중 증가 전환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올해 7.8% 마이너스(-)성장이 예상되는 설비투자는 내년에 4.9% 성장으로 돌아설 전망이다. 올해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도 반영됐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 성장률이 올해 -4.3%에서 내년 -2.3%로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봤다. 

수출은 세계교역 개선에 힘입어 내년에 증가로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반등 기대치는 기존보다 낮췄다. 상품수출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0.4%, 내년 2.2%로 각각 제시했다. 경상수지는 올해 570억달러, 내년 560억달러 규모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취업자 수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올해와 내년 각각 28만명, 24만명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7월 전망 때보다 각각 8만명, 6만명 늘어난 수치다. 

한은은 향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판단했다. 상방리스크로는 △정부의 확장적 경기대응정책 △미중 무역협상 타결 등에 따른 글로벌 보호무역기조 완화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기조 확산 등을 꼽았다. 하방리스크는 △반도체경기 회복 지연 △글로벌 교역 부진 지속 △홍콩 시위사태 격화 등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중국의 내수 부진 심화 등을 짚었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