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재편 시나리오 어그러지나?
은행권 재편 시나리오 어그러지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금융 민영화 지연 '오리무중'
"기회 아닌 리스크" vs "M&A 유효"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 우리금융 민영화를 필두로 한 금융시장 재편 가능성이 갈수록 오리무중 형국으로 치닫고 있다. 우리금융 민영화가 예정보다 늦춰지면서 정부의 우리금융 매각 의지가 후퇴한 것 아니냐는 관측에 기인한다. 지난해부터 거론돼돼 온 KB+외환, KB+우리, 우리+하나 등과 같은 '짝짓기' 시나리오가 어그러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외환은행의 해외매각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론스타가 밝혀온 외환은행 매각 마무리 시점이 2~3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외환은행 인수에 나설 국내 주체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외환은행에 관심을 가져온 곳은 KB금융과 하나금융, 산은지주 등이다.  KB금융은 지난해 9월 이후 반년 넘게 지속돼온 지주사 회장 공백 사태가 외환은행 인수작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하나금융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지켜본 뒤 입장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산은지주의 경우 향후 민영화 대상이라는 점에서 정부가 M&A 움직임에 제동을 걸어놓은 상태다.

올 초까지만 하더라도 상반기 우리금융 민영화 세부안이 확정되고, 빠르면 연내 우리금융 매각 작업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그러나 우리금융 매각에 대한 정부 입장이 오락가락 하면서 우리금융 매각이 올해를 넘길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제 정부가 밝힌대로 우리금융 매각이 공개입찰 형식으로 진행될 경우 빨라야 내년 상반기 께나 우선협상 대상자가 선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금융 매각의 열쇠를 쥐고 있는 금융당국 역시 이같은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정부가 선진국들의 은행대형화 규제 움직임과 유럽발 금융위기 등을 이유로 우리금융 민영화를 무기한 보류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 내에서도 우리금융 민영화와 6·2 지방선거, '변양호 신드롬' 등을 연관짓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처럼 우리금융 민영화 지연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은행권 시장재편이 각 금융사들에게 기회가 아닌 '리스크'로 대두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키움증권 서영수 연구원은 "우리금융 민영화 지연으로 국내 금융사가 외환은행 입찰에 참여하기가 어려워졌다"며 우리금융을 업종내 최선호주에서 제외했다. 대신 해외매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외환은행과 M&A와 무관한 신한지주 및 기업은행 등을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시장재편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KB·우리·하나금융 등의 경영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그러나 시기의 문제일 뿐 시장재편 움직임이 올 하반기부터 가시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아직까지는 우세한 상황이다. 신영증권 임일성 연구원은 "남유럽 재정위기와 미국의 '볼커룰', 그리고 최근 진동수 금융위원장 등이 M&A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M&A 지연이 우려되고 있다"며 "그러나 예대율 규제 등, 대출을 기반으로 한 성장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경영·제도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임 연구원은 M&A에 직접적 영향권 있는 KB금융과 우리금융을 최선호주로 제시하면서도, 다만 우리금융 민영화 지연으로 기존 KB+외환, 하나+우리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보적 입장을 내비쳤다.

하나대투증권 한정태 연구원도 "또다시 실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우리금융 민영화 추진은 올해가 적기이며, 마스터플랜 발표는 지방선거 이후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현정부의 임기가 내년에는 실질적으로 1년 반밖에는 남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레임덕 우려도 있지만 이견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