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식] 기상악화 재난 대응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구축
[용인소식] 기상악화 재난 대응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구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인시 침수 재난 대응 '빅데이터 분석' 모습. (사진=용인시)
용인시 침수 재난 대응 '빅데이터 분석' 모습. (사진=용인시)

[서울파이낸스 (용인) 유원상 기자] 경기 용인시는 기상악화에 따른 재난을 예측할 수 있는 침수 현황 빅데이터를 구축해 시민의 안전을 위한 행정에 활용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용인시 빅데이터 분석플랫폼'에 현황 자료를 접목해 장마철 피해를 신속하게 대처하고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침수 현황 빅데이터 서비스'는 지역 내 기상관측시스템을 실시간 수위 센서에 연결해 하천 수위 위험도를 표시하고, 침수에 취약한 지역을 공간 정보화로 구현해 위험도를 산출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침수지역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위험 여부를 시각화했다.

이와 함께 과거 데이터인 침수흔적도와 예측 데이터인 침수지도, 현황 데이터인 강·하천 데이터를 활용해 강수 현황에 따른 침수 위험도 분석 예측 프로세스를 구축해 재난 현장을 대응하는 부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구축한 '용인시 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의 고도화를 위해 환경부와 기상청 등 외부 기관의 데이터를 활용할 예정"이라며 "지진과 화재 등 재난 분석 분야를 확대하고, 향후 에는 시민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용인시, 인덕원~동탄선 흥덕구간 터널공사 앞두고 주민설명회

용인시는 오는 6월 예정된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공사 착공을 앞두고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22일 시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흥구 영덕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흥덕지구 입주자대표회의 연합회 요청으로 열린 설명회에는 시와 시공사인 HJ중공업 관계자, 시의원, 주민 등 90여명이 참석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사업은 안양시 인덕원에서 수원시, 용인시 흥덕·서천을 거쳐 화성시 동탄까지 이르는 총연장 38.918km의 일반철도를 건설하는 것으로 국토교통부가 국가철도공단을 통해 시행한다. 용인시에는 기흥구 흥덕(8공구)과 서천(10공구) 지역이 포함된다.

시는 이날 흥덕 구간인 8공구에 대한 사업 일정과 진행 현황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공사에 대한 주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도록 도왔다.

시공사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 "8공구는 지난해 말 공사에 착수해 실시계획, 지장물 이설 등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실질적인 터널 공사는 오는 6월 시작하고, (가칭)흥덕역인 111정거장 공사는 8월 시작해 오는 2028년 말 토목공사를 마무리하고 2029년 말까지 건축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터널 공사 과정에서 지하 암반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면 부득이 공사 일정이 변경될 수도 있다고 덧붙여 안내했다.

주민들은 공사 중 소음이나 분진을 최소화하고 공사에 따른 주변 교통 혼잡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경 써달라고 당부했다. 시공사는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