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배고픈' 韓國人…"건강보다 돈"
'여전히 배고픈' 韓國人…"건강보다 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로 본 정부수립 60년> 밝음과 그늘 '공존'
 소득 1만배 증가…행복 지수는 '후진국형'

[서울파이낸스 안보람 기자] <ggarggar@seoulfn.com>통계청이 14일 정부 수립 60주년을 맞아 발표한 '통계로 본 대한민국 6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의 내용은 하나하나가 그야말로 놀라운 성과들이다.

가난과 전쟁을 극복하고 세계 12대 교역국으로 성장했고, 오줌을 수출하던 나라가 반도체의 맹주가 됐고, 국민소득은 무려 1만배나 뛰었다. 한국전쟁(6·25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3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GNI)은 고작 2000원(미화 67달러). 그랬던 1인당 GNI가 지난해에는 1863만원(2만45달러)에 달했다. 올해 예상치 1900만원을 감안하면 55년 만에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배로 뛰게 되는 셈이다.
  
밝음이 있으면, 그 이면은 어둡기 마련인가.
객관적 수치상으로 나타나는 엄청난 발전에도 불구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후진국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최우선 조건으로 '건강보다 돈'을 더 앞세우는 것이 한국인의 자화상이다. 행복도 불행도, 돈 때문이라는 얘기가 된다.
정부수립 60년을 맞아 MBC와 한국사회학회가 '한국인의 삶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어두운 면이 드러났다.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줄어들고, 돈이 행복의 첫번째 조건으로 등장했다.
행복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74.7%, 행복하지 않다는 응답은 24.1%로 나타났다. 7년 전에 비해 행복하단 사람이 줄었고, 행복하지 않다는 사람은 늘었다.
소득과 행복도는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었고, 특히 지역별로는 부산·경남이 가장 높고 대구·경북이 가장 낮아 눈길을 끈다. 행복의 조건도 7년 전에는 건강과 가족이 우선이었지만, 이번 조사에선 돈이 첫번째로 꼽혔다.
 
반면,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사람들이 7년 사이 거의 두배로 늘어났고, 1주일에 한번 이상 술을 마신다는 응답은 줄어들었다. '결혼은 안 할 수도 있다'는 질문엔 절반 이상이 공감을 표시했다. 특히, 20대 여성은 4명 중 3명꼴이나 된다. 국제결혼에 대한 거부감은 줄어들었고, 아들을 꼭 낳아야 한다는 의식은 크게 낮아졌다.
 
한편, 지난 60년 동안 여성의 삶을 가장 변화시킨 물건으로는, 세탁기가 1위를 차지했고 냉장고·TV·전기청소기가 그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7월 28일부터 열흘간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면접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이처럼 긍정적 변화도 적지 않지만, 행복지수는 후진국형이라는 그늘도 있다.
발전했다고 여겼는데 정신적으로는 후진했다는 뜻이 된다.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 국내 총생산 세계 13위, 수출입 규모도 세계 11위의 무역대국이지만 국민 개개인의 만족도는 이와 괴리가 크다.

한국인이 행복해 하는 정도는 과연 몇 위나 될까? 이 흥미로운 질문에 대한 답은 불행스럽게도 매우 부정적이다. 최근 영국의 한 경제단체와 대학이 각각 발표한 한국의 행복지수는 178개국 가운데 102위. 작년 '세계가치관조사'에서도, 조사대상 37개국의 평균점수에 크게 못 미친 28위였다.

국가의 발전에 비해 행복도가 낮은 것도 문제지만, 행복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돈을 꼽은 것 또한 세계적 추세에 역행하는 특이한 현상이다. 그 이유는 치열하게 경쟁해야 하고 살아남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높기 때문에 자신이 열심히 하는 만큼의 보상은 받아야 된다는 생각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또, IMF위기 이후 극심한 양극화와 주식과 부동산 등에서 투기 열풍까지 불면서, 중산층의 상대적 빈곤감까지 커져 돈을 벌어도 행복하지 않고, 행복을 위해 또 돈에 집착하는 악순환이 행복지수를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조승헌 행복경제연구소 소장은 "2000년 초부터는 자기가 갖고 있는 절대적 소득의 크기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가 훨씬 더 행복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끼쳐 왔다"고 말했다. 방송은 '경제가 성장해도 국민은 불행해질 수 있다'는 행복경제학의 역설은 환갑을 맞은 우리 정부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며, 선진국들이 그렇듯 우리 정부도, 국민 행복을 위한 보다 세심한 연구와 정책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서울파이낸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트리오 2008-08-15 00:00:00
국민총생산을 일인당으로 나눈 수치상으로 국민소득이 향상되는 것은
대다수 국민의 박탈감의 증가로 국민의 삶의 질과는 오히려 역행한다.

국민소득으로 선진국에 진입하는 것으로 호도하는 것은 역사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다.

소득을 재분배하여 소외계층이 적어지고,
행복을 전 국민이 골고루 나눌 수 있도록
재벌과 부자들을 중요시하는 규제완화나 부동산 부양,
부동산 세금의 완화 등은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한다.

언론을 장악하기 위한 각종 꼼수와
공기업의 선진화라는 미명으로 국민의 권리를 찬탈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정부와 여당은 진정한 대다수의 국민을 위한 정책을 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