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톡톡] 건설부동산 리스크 관리 수준이라 하지만
[뉴스톡톡] 건설부동산 리스크 관리 수준이라 하지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 외 비은행권 리스크 우려 상존...한은 등 경각심 지적
서울의 한 아파트 건축 공사 현장.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의 한 아파트 건축 공사 현장.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파이낸스 김무종 기자]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이 커지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현재 모두 23조2387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20조3915억원), 2021년 말(15조9704억원)과 비교해 각 1년과 2년 사이 14%(2조8472억원), 46%(7조2683억원) 불었다.

현재 1051억원 규모인 연체액의 증가 속도는 더 빠르다. 작년 말(524억원)의 2배일 뿐 아니라 2021년 말(330억원)의 3.2 배에 이른다.

이에 따라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에서 올해 11월에는 0.45%까지 뛰었다.

부동산 PF의 경우 11월 말 기준 5대 은행 잔액은 18조2404억원 정도다. 올해 들어 26%(3조7917억원) 더 늘었지만, 연체율은 아직 0%에 가깝다.

아직 감당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지만, A 은행의 '경영 팩트북'을 보면, 올해 3분기 말(9월 말) 기준 건설업종의 연체율은 0.83%로 13개 업종 가운데 1위다.

더구나 이런 건설업의 연체율은 2018년 2분기 말(6월 말)의 1.19%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부동산 PF 부문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다. 시중은행은 주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보증부 대출 위주로 부동산 PF 잔액이 증가했다. 이는 대부분 선순위 보증을 바탕으로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에 PF 관련 부실 위험이 당장 크지는 않은 것으로 은행들은 자체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부동산 경기가 다시 냉각되는 만큼 선제적 위험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한은은 "부동산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건설·부동산업 연체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위험)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적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