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고금리 상황과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다시 치솟았다. 신규연체 확대로 연체율 상승이 이어지는 만큼 건전성 악화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43%로 집계됐다. 전월 말(0.39%)보단 0.04%포인트(p), 지난해 같은 기간(0.24%)과 비교했을 땐 0.19%p 상승한 수치다.
연체율은 지난 8월 0.43%를 기록, 2020년 2월(0.43%) 이후 3년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은행들이 분기말에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함에 따라 연체율은 통상 분기 중 상승했다가 분기 말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지난해 말부터 전반적으로 우상향하는 모습이다.
10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2조4000억원)은 대기업 연체 등으로 전월 대비 2000억원 증가했으며, 연체채권 정리규모(1조3000억원)는 3분기말 상·매각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월보다 1조7000억원 감소했다.
신규연체율은 0.11%로, 전월과 견줘 0.01% 올랐다. 지난해 10월 0.06%에서 올해 6월 0.09%, 9월 0.10% 등 지속 상승하는 추세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0.06%p 오른 0.48%를 기록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9%)과 중소기업 연체율(0.55%)이 각각 0.05%p, 0.06%p 상승한 가운데, 중소법인 연체율(0.59%)은 전월보다 0.07% 뛰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과 비교했을 때 0.02%p 상승한 0.37%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 대비 0.01%p 오른 0.25%였고,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은 0.71%로, 전월 대비 0.06%p 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10월말 연체율은 9월 중 상·매각 등으로 하락한 후 다시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최근 추세와 유사한 수준"이라면서 "은행의 대손충당금 등 손실흡수능력을 선제적으로 확충하는 한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 정리 확대를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고물가·높아진 대출문턱에···카드론 52% 급증·리볼빙 '사상 최대'
- 작년 말 자영업자 대출액 1억8천만원···고금리에 연체율 악화
- 금융위원장 "2금융권, 은행형 지원모델 어려워···저금리 대환 활용"
- 금융연구소들, "부동산PF·가계부채 부실 우려" 한목소리
- [뉴스톡톡] 건설부동산 리스크 관리 수준이라 하지만
- 금감원, 보험사 책임준비금·지급여력비율 관련 제도 개선
- 하나은행, 퇴직연금 운용 지원 '자산관리 솔루션 시스템' 구축
- 금감원, 금융사 검사 사전요구자료 재정비···최대 78%까지 감소
- [금융안정보고서] '사상 최대' 가계빚 이끈 주담대···취약차주 리스크 증대
- 금융위, '개인연체채권매입펀드' 신청기간 1년 연장
- [금융안정보고서] 고금리에 상환부담 '쑥'···금융불안지수, '위기' 근접
- [금융안정보고서] 자영업자 연체율, 1년 새 두배 이상 '껑충'
- 하나은행, 만 40세 이상 준정년 특별퇴직 실시
- 5대 은행 가계대출 한 달새 2조원↑···8개월 연속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