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서민금융 늘리지만···연체율 딜레마에 빠진 지방은행
정책서민금융 늘리지만···연체율 딜레마에 빠진 지방은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틈새 시장' 노려
고금리 장기화에 연체율 증가 등 관리 비용↑
(왼쪽부터)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사옥 전경 (사진=각 사)
(왼쪽부터)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사옥 전경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정지수 기자] 지방은행이 햇살론,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정책서민금융 상품 취급을 늘리고 있지만,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급증으로 딜레마에 빠졌다.

최저신용자특례보증, 햇살론 등 정책서민금융 상품의 공급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는 가운데 지방은행의 정책서민금융 취급은 서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지만, 지방은행 입장에선 연체율과 관리비용이 높아지고 있어 취급할수록 손해를 볼 수도 있는 상황이다.

7일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정책서민금융 상품인 햇살론·최저신용자특례보증·소액생계비대출 규모는 꾸준히 증가추세다. 2021년 4조9603억원에서 2022년 6조9319억원으로 늘어난데 이어 올해의 경우 지난 8월 기준 5조856억원을 기록했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대출은 신용등급 하위 10%에게 최대 1000만원까지 빌려주는 정책대출상품이다.

전북은행은 지난 10월 한 달 간 235억원의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대출을 취급했다. 매달 이 상품의 한도가 70억~80억원인 것에 감안할 때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광주은행도 같은 기간 200억원 규모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을 공급했다. 이는 기존 공급액(70억원)의 세배 가까운 규모다.

햇살론의 경우 5대 지방은행(대구·전북·광주·부산·경남) 중 전북은행이 1조1687억원(94.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광주은행 245억원(2.0%), 대구은행 167억원(1.4%)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지방은행이 정책서민금융상품 취급을 늘리는 것은 자본력 있는 시중은행과 혁신·편리성을 앞세운 인터넷전문은행 틈바구니에서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상품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책서민금융 상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이 지방은행으로 쏠려 있는데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김희곤 의원실이 서민금융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의 지난해 햇살론뱅크 취급액은 200억원에 그쳤다. 상품의 전체 공급 규모가 1조2300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더구나 다른 대출상품에 비해 수익성이 낮은데다 최근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증가로 취급할수록 비용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햇살론15와 햇살론뱅크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각각 100%, 90% 보증하기 때문에 연체율에 따른 리스크는 적지만, 판매·관리비용 외에도 부실채권 발생시 건전성 관리 등을 위해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최근 연체율 증가세를 감안할 때 비용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올해 9월 말 기준 전북은행의 연체율은 1.34%로, 지난해 말(0.69%)보다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광주은행과 대구은행의 경우 각각 0.4%p, 0.11%p 오른 0.69%, 0.54%를 기록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연체율은 각각 0.44%, 0.32%였다.

이와 관련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 입장에서는 정책서민금융 상품 취급이 탈출구인 만큼 리스크를 감수하고서라도 공급할 수밖에 없다"며 "지방은행의 현실 속에서 연체율 관리만 강하게 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