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테슬라 충전방식 글로벌 주도권, 시장 영향은?
[전문가 기고] 테슬라 충전방식 글로벌 주도권, 시장 영향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
김필수 대림대 교수

전기차는 보급도 중요하지만 실과 바늘의 관계인 충전기를 얼마나 용이하게 소비자에게 접근시키는 가가 중요한 변수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에서는 전기차의 가성비 증가는 물론 충전기에 대한 표준과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이미 국내의 경우도 약 3년 전부터 웬만한 충전기회사는 모두 대기업에서 인수하거나 투자를 해 현재는 대기업 모델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부분도 장기간을 목표로 충전사업의 활성화는 물론 관련 산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움직임이 있다.

글로벌 시장 충전기는 연결방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일본 제작사 중심으로 활용되던 차데모 방식과 르노그룹 등 일부 제작사 중심의 AC 3상 방식, 그리고 미국 제작사와 BMW 등에서 활용되던 DC 콤보 방식이라 할 수 있었다. 여기에 중국은 가장 큰 시장을 바탕으로 중국의 독자적인 방식을 고수해 최근까지 각자의 특성에 맞춰 진행돼 왔다. 우리나라는 큰 주도권을 쥐고 있지 않은 만큼 3가지 타입의 충전기를 모두 종합적으로 제품화하면서 대응해 왔다.

이러한 충전방식이 다른 이유는 보급하고 있는 전기차와 전기에너지 보급측면은 물론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 자사에 유리한 충전타입을 적용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차와 충전기가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증가하면서 지역적으로 각각 다른 충전타입으로 인한 불편함이 가중되기 시작했다. 즉 전기차 보급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이에 따른 충전기가 늘면서 충전 타입에 대한 통일성이 중요해졌다.

이와 함께 최근 충전 타입에 대변혁이 일고 있다. 그 동안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보급 1위 기업이면서 전기차 혁신의 아이콘인 테슬라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던 충전 타입인 NACS를 미국 제조사의 지원에 힘입어 같은 테슬라 충전타입으로 통일화를 기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전기차 주도권을 쥐기 위한 GM과 포드 등은 미국 내에서 아직은 낮게 보급돼 있는 급속충전기에 대한 갈증이 심했다. 반면 테슬라는 미국 내에서 계속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테슬라 차량과 더불어 급속 충전기인 수퍼차저 보급에 힘쓰면서 가장 많은 급속충전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테슬라 충전 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포드가 같은 테슬라 충전방식을 합의했고 바로 이어서 GM까지 동조한 것이다. 여기에 스타트업 리비안도 가세해 힘을 보태고 있다. 앞으로 스텔란티스까지 동조하면 이른바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 '빅3'인 GM, 포드, 스텔란티스 모두가 테슬라 방식으로 통일화되는 것이다. 그 동안 미국 내에서 가장 힘을 쓰던 CCS방식이 단번에 입장이 바뀐 상황이 된 것이다. 앞으로 미국 시장에서 이와 다른 충전타입을 사용하던 전기차 소유자는 젠더를 별도로 구입해 연결 사용하는 것은 물론 제작사는 테슬라 충전타입으로 처음부터 제작해 판매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물론 미국 정부는 CCS방식을 표준으로 진행했고 테슬라와의 사이가 그리 좋은 사이는 아닌 만큼 향후 추이를 봐야 한다. 특히 미국 정부의 충전기 보조금 문제도 눈여겨 봐야 하는 항목이다. NACS 방식의 장점은 어댑터와 케이블이 가볍고 작다는 장점이다. 그러나 앞으로 통신방식의 통일과 1000V 고압방식의 승압 기술 개발은 물론 플러그 인 차지(PnC) 기능을 얼마나 빨리 구축해 소비자 측면에서 용이하게 활성화시키는 가가 중요한 관건인 만큼 CCS 방식과의 차별화는 앞으로 두고 봐야 한다.

테슬라는 전기차는 물론 충전 타입도 글로벌 시장에서 모두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는 점이다. 미미하게 유일하게 독자적으로 사용하던 테슬라만의 충전타입이 미국 제작사들의 지원에 힘입어 주도권을 쥐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물론 국제 사회에서 충전타입의 표준화에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면서 테슬라가 전기차와 충전기 모두를 아우를 수있는 기회가 늘었다.

다만 테슬라 충전방식의 확대는 국내 자동차 업계에 그리 좋은 사안은 아닐 수 있다. 이미 전기차 혁신의 아이콘으로 '반값 전기차' 화두를 던지고 진행 중인 만큼 다른 가중 요소가 커지면서 현대차와 기아 등 글로벌 제작사 들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은 시작인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향후 전략을 고민하는 시간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