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연구진, 호흡기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차단 백신 개발
카이스트 연구진, 호흡기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차단 백신 개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흥규 의과학대학원 교수팀, "강력한 점막 면역반응 유도 능력 입증"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이흥규 교수(왼쪽)와 정희은 박사. (사진=카이스트)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이흥규 교수(왼쪽)와 정희은 박사. (사진=카이스트)

[서울파이낸스 이주현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호흡기부터 차단하는 백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29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은 이흥규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한국화학연구원이 개발한 비강 접종 코로나19 백신으로 강력한 점막 면역반응 유도 능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카이스트에 따르면, 점막 면역이란 면역 체계 구성 요소 중에서도 호흡기, 소화기, 생식기관 등을 구성하는 체내 상피 조직인 점막에서 작용한다. 점막이 병원체나 외부 항원의 주요 침입 경로여서, 점막 면역은 병원체의 침입에 빨리 대응해 감염과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소속 박사후연수연구원인 정희은 박사가 주도하고 박사과정 구근본·강병훈 연구원과 김현철·박장현 박사, 한국화학연구원 소속 김균도 박사가 참여한 연구팀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량된 스파이크 단백질 항원 및 인간 유래 면역증강제(CXCL9) 탑재 비강 접종 코로나19 백신(Ad5-S.Mod)을 개발한 뒤 실험용 쥐로 효능을 검증했다. 

연구팀은 1회 단일 비강 접종 또는 근육-비강 2회 접종 방식으로 백신 효능을 검증했는데, 호흡기 점막의 항체 반응 및 기억 티(T)세포 반응을 높은 수준으로 유도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1회 단일 접종만으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백신 투여군이 모두 생존한 것이다. 백신 접종으로 만들어진 면역반응이 최소 1년간은 유지된다는 것도 밝혀내면서, 백신의 강력한 점막 면역반응 유도 능력을 입증했다.

카이스트 쪽이 "폐 대식세포가 점막 백신에 의해 형성되는 기억 면역반응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로 밝혀내, 다양한 병원체 대상 비강 백신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표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소개한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 분야 국제학술지인 '안티바이럴 리서치'(Antiviral Research) 온라인판에 지난 14일 게재됐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