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치 않은 자영업 소득…GNI 대비 비중 역대 최저
심상치 않은 자영업 소득…GNI 대비 비중 역대 최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계소득 증가 부진 원인"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국민총소득(GNI)에서 자영업자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가계소득 증가 둔화의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영업 잉여는 127조82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 증가했다.

가계 영업 잉여는 주로 영세 자영업자들의 소득을 뜻한다.

가계 영업 잉여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2007년엔 급기야 -8.2%로 역성장하더니 이후 0∼2%대 성장세에 그치고 있다.

반면 지난해 전체 GNI는 1730조4614억원으로 5.1% 증가했다.

GNI 대비 가계 영업 잉여 비중은 지난해 7.3%로 전년보다 0.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5년 이래 최저다.

2000년 16.0%에서 2008년 9.9%로 한 자릿수로 떨어진 뒤 계속해서 하락세다.

GNI 대비 가계 영업 잉여 비중이 줄어든 것은 시장 포화로 영세 자영업자 이익이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후준비가 되지 않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200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은퇴하면서 진입 장벽이 낮은 도소매업, 음식업 등 창업으로 몰린 탓에 자영업자가 늘었다.

여기에 내수가 좋지 않다 보니 자영업자들은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까지 겹친 것이다.

전통적 자영업 영역인 소매업, 음식업에 대기업 진출이 활발해진 점도 자영업 영업 이익 둔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자영업자 소득 부진은 전체 가계의 전반적인 소득 부진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경제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어 우려를 낳는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최근 보고서에서 자영업 영업 잉여 둔화를 국내 가계소득 증가 둔화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하기도 했다.

예산정책처는 "자영업 영업이익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 전략, 과당경쟁 문제 해결 등 정책적인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