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홈 IoT 상용화 1년…"연내 50만 가구 확보"
LGU+, 홈 IoT 상용화 1년…"연내 50만 가구 확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LG유플러스는 홈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출시 1주년을 맞아, 올해까지 홈 IoT 서비스를 50여 종으로 대폭 확대하고 총 50만 가구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겠다고 4일 밝혔다. (사진=LG유플러스)

[서울파이낸스 이호정기자] LG유플러스는 홈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출시 1주년을 맞아, 올해까지 홈 IoT 서비스를 50여 종으로 대폭 확대하고 총 50만 가구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겠다고 4일 밝혔다.

또 기존 건물이나 주택 등에 홈 IoT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신축 오피스텔이나 아파트 등의 건물에 빌트인 IoT서비스를 제공하고, 경기 고양시를 시작으로 IoT 스마트 도시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지난 1일부터 'IoT서비스 부문'을 'IoT사업 부문'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존 FC본부에서 분리, CEO 직속부서로 편제해 IoT사업 추진에 힘을 실었다.

향후 IoT사업 부문은 홈IoT, 산업 IoT 분야 전반의 상품 기획 및 제휴는 물론, 급속히 늘어나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안정화 업무도 함께 맡게 된다.

LG유플러스의 홈 IoT 서비스(IoT@home)는 작년 7월 상용화 이후 가파른 가입자 증가세를 이어왔다.

초기 1만 가구 돌파까지는 30일이 걸린 데 반해, 2만 가구 돌파에는 21일, 3만가구 돌파는 19일, 최근에는 2주만에 1만 가구씩 가입자가 늘어나며, 일 평균 1천 가구 이상이 IoT 서비스를 신청하고 있다.

지난해 7월 IoT 스위치, 플러그, 에너지미터, 온도조절기, 열림감지센서, 도어락 등 6종의 신규 서비스로 출발한 IoT 상품은 1년 만에 총 28개 제품으로 4배 이상 늘어났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올해까지 50여 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서비스 상용화 이후 IoT 보일러, IoT오피스텔, IoT스마트 홈(비디오폰 등)시스템, 전자업체(LG전자,삼성전자), 가구업체, 펫 악세서리 제조기업, 전동커튼 등 전 산업분야로 IoT 서비스 제휴를 확대해 왔다.

최근에는 생활가전 전문기업 쿠첸과 함께 원격 제어와 모드 자동실행이 가능한 지능형 IoT 밥솥을 출시하고, 국내 소방설비 전문 업체인 파라텍과 LG유플러스의 IoT@home 애플리케이션에 연동된 주방용 IoT 소화장치를 선보였다.

이와 함께 안강개발과 아주산업건설 등 IoT 오피스텔 구축을 위한 사업협력에 이어 지난 달에는 대우건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전국의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건물에도 LG유플러스의 홈 IoT 서비스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LG유플러스는 IoT을 활용한 스마트 시티 구축에도 나서 IoT 기술의 적용범위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사물인터넷(IoT)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 사업자로 LG유플러스-경기 고양시 컨소시엄이 선정됨에 따라 똑똑한 미래도시 구축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또 서울디자인재단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세계적인 서울의 관광 명소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공공 IoT 시스템을 구현해 공공IoT 기술의 세계화를 추진 중이다.

안성준 LG유플러스 IoT사업 부문 전무는 "홈 IoT 서비스는 고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의미 있는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는 통로"라며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LG유플러스의 인프라와 서비스가 다양한 영역에서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