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결국 상장폐지?…전방위 후폭풍 우려
쌍용건설, 결국 상장폐지?…전방위 후폭풍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금융·증권업계 대규모 손실 불가피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쌍용건설이 결국 상장폐지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그동안 마찰을 빚어왔던 군인공제회 자금은 모두 상환할 방침이다. 문제는 이에 따른 후폭풍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12일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단은 전날 실무자회의를 열고 쌍용건설 정상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쌍용건설에 신규자금 3000억원을 지원하되 이 중 1200억원은 군인공제회 자금을 갚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1800억원은 운용자금으로 쓰는 방안을 제시했다.

대신 출자전환은 하지 않는 조건이다. 연말까지 출자전환이 없을 경우 쌍용건설은 자본잠식 상태로 곧 상장 폐지된다. 결국 우리은행의 방안은 상장폐지를 감수하더라도 군인공제회와의 갈등을 풀고 법정관리를 막겠다는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를 채권단에서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군인공제회에게 프로젝트파이낸싱(PF) 원리금 1200억원을 모두 갚아준다는 것을 다른 채권은행들이 수용할 가능성이 낮아 보이기 때문이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신규자금을 지원하면 군인공제회의 원리금 회수에 쓰이는 꼴이 된다"며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또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도 "우리은행을 제외한 기타 은행들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며 "군인공제회가 양보하지 않는 이상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상장폐지 이후의 쌍용건설이다. 상장폐지가 결정되면 쌍용건설은 해외 공사현장에서 사실상 수주가 어렵게 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발주처는 워크아웃의 경우 '재무재조정' 수준으로 보고 있지만 상장폐지는 부도 직전으로 인식한다"며 "채권단의 상장폐지 결정은 사실상 해외영업을 포기하라는 통보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1400여 협력업체들의 줄도산이 우려되며 이는 타사 현장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개 대형건설기업의 협력기업은 여러 기업의 하청을 받아 재하청을 주거나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들이 붕괴되면 '도산 도미노'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은행 역시 1조원에 달하는 보증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발주처에서 선수금과 공사이행, 하자이행 보증 청구의 우려가 있다. 현재 8개국 16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쌍용건설의 해외사업도 모두 사업권을 잃게 된다. 총 27억달러 규모다.

뿐만 아니라 쌍용건설의 상장폐지에 따른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로 또 다른 진통도 예상된다. 3분기 기준 쌍용건설의 소액주주는 5477명으로, 지분 2.15%를 보유하고 있다. 상장폐지가 되면 장내에서 매매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휴지조각으로 전락한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 4월 쌍용건설이 50대 1로 감자를 실시할 때에도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입는다며 거세게 반발한 바 있다"며 "채권단이 상장폐지를 추진하면 후폭풍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표면적으로 이번 사태의 도화선이 된 군인공제회 역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 할 전망이다. 쌍용건설이 상장폐지 수순을 밟을 경우 군인공제회가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자산은 앞서 가압류한 7곳이 아니라 PF 850억원을 대출해 준 남양주 화도 사업장이다.

부동산컨설팅 전문가들은 이 사업장을 경매 처분할 경우 최대 400억원가량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채권단이 연내 선지급하려고 한 금액(450억원)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자를 빼더라도 원금 850억원이 반 토막 난다.

그러나 군인공제회 측은 회원들의 자산을 굴려야 하는 입장에서 이자탕감 등의 요구를 받아줄 경우 수익자에게 손실을 입혀 배임에 걸릴 수 있다며 채권단의 요구를 완강히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