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권총' 국내서도 반나절이면 뚝딱…성능은?
'3D 권총' 국내서도 반나절이면 뚝딱…성능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유승열기자] 미국에서 3D 프린터로 출력한 권총 실험에 성공한지 불과 열흘만에 국내에서도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권총을 만든 무정부주의 단체가 공개한 설계도면은 권총을 16가지 부품으로 나눠 3차원 입체 화면으로 보여준다. 16일 한 방송사가 이를 근거로 가정용 3D 프린터 소지자에게 의뢰해 인터넷에 올라온 설계도로 플라스틱 권총을 직접 출력했다.

불과 한 시간 만에 총열이 절반가량 만들어지고, 도면대로 프린트를 하는데 밀도나 정교함에 따라 프린트 속도가 달라지지만 반나절 정도면 (권총) 제작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경찰이 출력된 권총을 임의제출 형식으로 받아 성능 실험을 했지만, 공이 등 총알을 내쏘는 격발장치가 없기 때문에 실제로 발사되지는 않았다. 

문제는 3D 프린터의 출력 능력. 가정용이 아닌 산업용 3D 프린터로 출력하면 실제 발사 가능한 권총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단 사실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쇠못 같은 물체만 있어도 쉽게 공이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얘기다. 공이는 총알을 뒤에서 때리는 부분인데 그거는 못이라든가 나사, 이런 걸로 끼면 격발이 가능하다는 것.

그런데도 국내에 3D 프린터가 몇 대나 들여와 있는지 당국은 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상태. 경찰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조해 3D 프린터 현황을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총기 제작과 판매가 허용되는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 총기 출력은 명백한 불법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