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韓 신용등급 상향에도 '제자리'…왜?
국내은행, 韓 신용등급 상향에도 '제자리'…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C은행 한 곳만 조정…"'은행=공기관' 공식 깨진 것"

[서울파이낸스 이종용기자]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잇따라 상향 조정됐음에 불구하고 국내 주요은행의 신용등급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무디스, 피치, 스탠더드앤푸어스(S&P) 등 글로벌 3대 신평사는 지난 8월 말 무디스를 시작으로 한국정부의 신용등급을 1단계씩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이들 신평사는 국민,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빅4 시중은행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치에 나서지 않고 있다. 외국계인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만이 S&P로부터 한단계 상승한 신용등급과 등급전망을 부여받았다.

반면 국가신용도에 연동되는 공공기관들의 신용등급은 국가등급과 같은 수준으로 상향됐다.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산업은행, 정책금융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금융공기업이 대표적이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신평사들이 '공기업 등급 차별화'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국가신용등급과 로컬은행 신용등급을 연계해 평가했지만 이번에는 특정 공공기관 등급만 상향됐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국책은행이나 정책금융공사 등 정부 지원 근거가 명확한 곳은 등급이 상향조정 됐지만, 주요 공기업 12곳과 농협 등은 정부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등급상향 대상에서 제외됐다.

같은 기준으로 국내 시중은행 역시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가 작용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은행의 경우 공공성을 갖고 있더라도 과거처럼 정부가 파산을 막기 위해 공적자금을 투입할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김상만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시중은행들은 높은 공공성과 그에 따른 정책적 지원 가능성 등이 신용등급에 우호적으로 작용해 국가등급과 같은 등급을 적용 받았었다"며 "하지만 공기업들의 등급차별화에서 나타났듯이 향후에는 공공성만으로 높은 등급을 담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도 "과거에는 신평사는 정부와 정부의 지원과 규제를 받는 은행을 동일하게 인식해 실제로 은행의 등급이 상향됐다"면서 "그러나 이번에는 '국가 신용등급이 은행등급'는 공식이 성립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주요 신평사들이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땅에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고자 하는 차원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과거 높은 신용등급을 유지했던 글로벌 은행들이 잇따라 무너지면서 신평사의 신뢰도 역시 예전만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신평사들은 유럽 재정위기가 구체화되고 나서야 유럽 국가와 은행들의 등급을 무더기로 강등시키며 전세계적인 비난여론에 부닥치기도 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