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중저신용대출 늘려야 하는데···건전성 '딜레마'
인터넷은행, 중저신용대출 늘려야 하는데···건전성 '딜레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반기 중·저신용 대출 공급액 3조551억, 전년比 24%↓
올해 연말 목표치 미달···치솟는 '연체율·NPL비율' 우려
"당국 '주담대 눈총'에 건전성 관리 부담 더 커져" 불만 
(사진=각 사 및 연합뉴스)
인터넷전문은행 3사.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기존에 제시했던 '연말 목표치' 달성을 위해 올 하반기 중·저신용자 대출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금리인하 등을 통해 해당 대출 비중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중·저신용 대출을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빠르게 치솟는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비율 등 건전성 지표 악화는 여전히 업계의 고민거리로 작용할 전망이다. 더욱이 금융 당국이 주택담보대출을 적극 취급하는 인터넷전문은행을 향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이 한층 커졌다는 지적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올해 상반기 중·저신용자에게 공급한 신용대출 규모는 약 3조55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취급했던 대출 규모보다 약 24% 줄어든 수준이다.

은행별로 카카오뱅크가 전년 동기(1조3362억원)보다 31% 증가한 1조7503억원을 공급해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공급 규모를 나타냈다. 이어 케이뱅크는 전년 대비 55.8% 감소한 4640억원, 토스뱅크는 48.5% 줄어든 8408억원의 대출을 중·저신용자에게 내줬다. 

올해 2분기 기준 이들 3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7.7%, 케이뱅크 24.0%, 토스뱅크 38.5%였다. 1분기와 비교했을 때 카카오뱅크는 3개월 새 2%포인트(p) 상승했으며, 케이뱅크는 0.1%p 올랐다. 반면 토스뱅크는 같은 기간 3.56%p 내려갔다.

이 수치는 각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 대한 대출 잔액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각 은행이 연말 목표치로 제시한 비중은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다.

아직 3사 모두 연말 목표치에 미치지 못한 만큼, 남은 하반기엔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더욱 적극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15일부터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맞추고자 고신용자 대상 신규 신용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취급을 한시 중단했다.

이달 초엔 중·저신용자 상품인 '신용대출플러스'의 금리를 최대 연 1%p 인하하는 등 공급을 확대했는데, 그 결과 8월말 현재 중저신용자 비중은 25.1%로 오른 상태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 고객의 대출 심사에 신파일러(Thin Filer) 고객 등을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카카오뱅크 스코어를 적극 활용, 대출 가능 고객군을 확대하고 있다. 8월 현재 기준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28%를 넘어섰다. 토스뱅크 역시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용평가모형 'TSS'를 한층 고도화해 나가며 중저신용자 포용을 이어가기로 했다.

다만 중·저신용 대상 대출을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건전성 관리는 여전히 주요 숙제로 여겨진다. 상환 여건이 악화하는 취약차주들이 늘고 있는 데다 건전성 지표는 점점 나빠지는 상황인 터라 부담이 한층 커졌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실제 신용평가모형 고도화에도 연체율은 상승 곡선을 그리는 추세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올 2분기 0.52%의 연체율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와 견줘 0.19%p 올랐고, 케이뱅크는 0.52%에서 0.86%로 0.34%p 뛰었다. 아직 경영공시 전인 토스뱅크는 1분기 기준 연체율이 1.32%로, 1%대를 넘어선 상황이다.

연체된 지 3개월이 넘은 대출 비율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덩달아 치솟고 있다. 올 2분기 NPL비율이 0.42%로 집계된 카카오뱅크는 1년 새 0.15% 상승했다.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는 지난해 1분기 각각 0.64%, 0.04%에서 올 1분기 0.94%, 1.04%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향후 인터넷은행들이 건전성 관리에 더욱 애를 먹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최근 가계부채 관리에 돌입한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 급증 배경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의 비대면 주담대를 지목하면서다.

담보대출 비중이 적은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건전성을 위해선 주담대 취급을 늘리는 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개선해야 하는데, 이들 은행의 성장을 이끈 주담대를 향한 당국 기류가 심상찮다. 당국은 주담대보다는 인터넷은행 설립 취지인 '중·저신용 대출' 취급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포용금융을 잘하려면 안전한 자산을 늘리고, 이를 바탕으로 회사가 건강하게 성장해야 원활하게 취약계층 대상 금융 공급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서 "당국의 지적으로 주담대 규모를 적극적으로 늘리는 게 어려워졌기 때문에 건전성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용평가모형 고도화로 우량 차주를 선별하는 한편, 안전한 대출 자산을 늘리는 것들이 고루 이뤄져야 하는데, 주담대 확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나오는 것에 대해 우려가 많다"며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확대만 주문한다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