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경쟁에도 체감 효과 미미, 왜?
[초점]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경쟁에도 체감 효과 미미, 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5% 금리 대출 비중, 31.5%까지 확대
속도 붙은 금리 인상···차주 부담 가중
한 고객이 은행 대출 창구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우리은행)
한 고객이 은행 대출 창구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우리은행)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최근 시중은행이 대출금리 인하 움직임에 나서고 있지만, 실제 차주들이 체감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간 가파르게 올랐던 금리 상승폭에 비해 이번 인하폭 자체가 크지 않은 데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지는 만큼 차주의 부담은 더욱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날부터 신규 코픽스 기준으로 비대면 전세자금대출 상품(우리WON전세대출, 우리스마트전세론 등)과 우리전세론의 금리를 0.20%포인트(p) 내리기로 했다.

우리은행을 포함해 최근 자체적으로 가계대출 금리를 낮춘 곳은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NH농협은행 등이다. 지난 5일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금리) 상품 금리를 0.45%p, 변동금리 상품의 금리는 0.15%p 낮춘 국민은행은 예상보다 큰 폭의 인하를 실시하면서 본격적인 금리인하의 물꼬를 텄다.

국민은행은 KB전세자금대출(주금공 보증)과 KB주택전세자금대출(주금공 보증)도 각각 0.55%p, 0.25%p 내렸는데, 이후 신한은행이 지난 8일부터 주담대 금리를 0.10~0.20%p, NH농협은행은 0.30%p 낮추며 은행권 전반으로 대출 문턱 낮추기가 이어졌다.

이처럼 은행들이 잇따라 대출금리를 내리는 것은 최근 가계대출 감소로 인한 다급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 상승세 속에서 대출 수요가 줄어들자 가산금리를 낮추는 등 영업 확대에 나선 것이다.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1059조원으로 2월보다 1조원가량 줄었다. 지난해 12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세다. 이는 통계 집계 이래 처음 있는 일인 만큼 금융권에서는 그만큼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크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문제는 대출금리 인하 경쟁에도 정작 차주들이 체감하는 효과는 크지 않다는 점이다. 금리 인하폭보다 그간 이뤄진 대출금리 상승폭이 워낙 큰 터라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여전하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실제 시장 금리의 준거가 되는 기준금리는 작년 8월 이후 이날 금통위를 포함해 1.00%p(0.50%→1.50%)나 올랐다. 은행권의 주담대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지난 2월 기준 연 3.88%로, 3.97%였던 2013년 이후 9년여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비중 중 4~5% 금리 대출은 31.5%까지 덩치를 불렸다. 작년까지만 해도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던 금리 3% 미만 대출은 15.3%까지 떨어졌다. 2%대 대출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소폭에 그치는 은행들의 금리 인하가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앞으로 차주들의 실질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통화정책 정상화를 알린 한은의 추가 인상이 확실해졌다는 점에서 결국 한시적으로 금리를 낮춘 은행권의 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 인하를 통해 영업 확대를 하고 있지만, 금리 인상과 투자처 감소로 대출 수요가 의도만큼 늘어날지도 의문"이라면서 "가산금리를 지속적으로 낮추려고 해도 자금을 조달하는 금리 자체가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는 상황이어서 차주들의 부담 확대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