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톡톡] 우리은행, 5000억 신종자본증권 조기상환···왜?
[뉴스톡톡] 우리은행, 5000억 신종자본증권 조기상환···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금리 해소 차원 풀이···위험자산 중기 대출 증가 BIS관리 이슈
콜옵션 미행사에 따른 시장 부담도···하나·BNK금융도 조기상환
우리은행 본점 전경 (사진=우리은행)
우리은행 본점 전경 (사진=우리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경쟁 은행보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2~3%p(포인트) 낮은 우리은행이 올해 자기자본비율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하는 상황에도 기존 신종자본증권을 조기 상환한 이유는 왜 일까요.

더구나 우리은행은 올해 위험자산인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이 늘어나 자본 확충을 통해 안정적인 BIS비율 관리에 나서야 하는 상황인데 말이죠.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2015년 6월 발행했던 5468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코코본드)을 5년 만에 전액 조기 상환합니다.

영구채 성격을 지닌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사가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인정됩니다. 부채를 늘리지 않으면서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수단인 만큼 금융사들은 BIS비율 등 자본적정성 관리를 목적으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곤 하죠.

우리은행은 지난 2015년 6월 10일 BIS비율 개선을 위해 해외에서 신종자본증권을 5년 조기상환(콜옵션) 조건으로 발행했습니다. 당시 환율 기준을 적용하면 5468억원에 달하는 규모로 발행 금리는 연 5%였습니다.

해당 채권의 만기는 2045년 6월 10일이지만 우리은행은 5년 콜옵션 만기 기일에 맞춰 이를 조기 상환하기로 한 것이죠. 현재 채권 발행 금리가 2015년 대비 크게 떨어진 데다 BIS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우선, 2015년 발행 당시 금리는 5년 만기 미국 국고채 수익률(1.6%대)에 가산금리를 더한 5%로 결정됐지만 5년새 미국 국고채 5년물 금리가 0.4%대로 크게 떨어졌습니다. 우리은행 입장에서는 채권을 다시 발행하는 한이 있더라도 당시 고금리로 발행했던 신종자본증권을 상환하는 것이 유리해 보입니다.

여기에 BIS비율이 현재로선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점도 신종자본증권 상환에 따른 자본적정성 악화 부담을 줄여주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각각 14.77%, 12.65%, 10.67%로 모두 당국 권고치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BIS비율은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수치로, 이 비율이 당국 권고치 아래로 떨어지면 은행 자본의 적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죠.

다만 일각에선 올해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지난해 5월 79조7736억원에서 올해 5월 87조2377억원으로 9.4% 늘었고, 개인사업자 대출도 같은 기간 42조6332억원에서 45조8404억원으로 7.5% 늘었습니다. 자본적정성 관리를 위해 추가로 자본을 확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죠.

앞서 우리은행은 기존 신종자본증권 상환을 염두에 두고 지난해 10월 5억5000만달러(당시 환율 기준 6665억원)의 신종자본증권을 선발행하며 자금 조달을 마쳤지만 추가 발행 등 선제적 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또 시장에서는 우리은행의 조기 상환 결정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을 경우 따라올 부담이 크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보통 투자자들이 5년 콜옵션 조항이 붙은 영구채에 투자할 때에는 콜옵션 만기 도래 시점을 투자금 회수 기간으로 봅니다. 이 기간을 넘어가면 투자자들은 발행사의 자본 여력이 좋지 않아 투자금 회수가 어렵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서죠. 금융사들이 콜옵션 미행사 자체에 부담을 느끼는 이유입니다.

실제 BNK금융지주도 2015년 6월 24일 발행했던 8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5년 콜옵션)을 전액 조기 상환하겠다는 계획을 지난 9일 밝힌 바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도 지난달 29일 8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5년 만에 조기 상환했습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보통 금융사들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며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것 자체만으로 시장에는 (해당 기업의) 자본 여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의미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