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금리차 0.75%P 임박…한은, 금융·경제상황 점검
韓美 금리차 0.75%P 임박…한은, 금융·경제상황 점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역분쟁 등 경기 하락 압력으로 고심
올해 금리 인상 10월 11월 결정에 관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으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4월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한국은행이 금융·경제상황 점검회의를 하고 추석연휴 기간 국제금융시장 상황을 살폈다. 기정사실화 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국내 금융 및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26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비공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윤면식 부총재, 허진호 부총재보, 유상대 부총재보, 공보관, 국제국장, 통화정책국장, 금융투자국장, 투자운용부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5~26일(현지시각) 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정책금리를 인상할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이코노미스트 91명 중 87명(96%)이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2.00~2.25%로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기준금리가 지난해 11월부터 1.50%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미 금리차는 0.75%p까지 벌어진다. 

미국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면 국내 자본유출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한미 금리격차가 0.25%p 확대되면 총 15조원(국내총생산 대비 0.9%) 수준의 자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신흥국발(發)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경기도 점진적인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미간 금리차 확대는 외국인 자본의 유출압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준금리 결정권을 지닌 한은의 고민은 날로 깊어지고 있다. 올해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미국이 연말에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두 나라의 금리차는 1%p까지 커진다. 이는 전문가들이 지적한 우리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임계치에 다다른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부진한 경기·물가 여건, 악화일로를 거듭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한은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한은의 금통위 회의는 10월과 11월, 단 두차례만 남았다. 10월 금통위 때는 상황이 더욱 복잡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현재 2.9%)를 낮출 것이란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이와 동시에 금리를 올리려면 상당한 명분이 필요하다. 단순히 한미 금리격차를 명분으로 금리를 올리기 어렵다는 얘기다. 

일단 한은은 미 FOMC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27일 오전엔 허진호 부총재보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하고 연준의 FOMC 회의 결과가 국내 금융 및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다. 이 총재는 같은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미 금리인상에 따른 영향과 전망 등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