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갈등 '격화'···완성차·배터리 업계, 공급망 검토
미중 무역갈등 '격화'···완성차·배터리 업계, 공급망 검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 정부,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 대폭 인상
"불똥 튈라, 중국산 찾아라" 부품 전수조사 벌인 현대차
배터리 관세는 7.5%→25%로 올려, "대비 철저, 영향 미미"
니오 중국 안후이성 공장 (사진=니오) 
중국 전기차 업체 니오의 안후이성 공장 (사진=니오)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 산업을 겨냥한 관세 인상 조치에 나서면서 국내 산업계도 이에 대비를 강화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는 부품을 전수조사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검토에 나섰고, 미·중 무역 갈등을 한차례 겪은 배터리 업계는 혹시 모를 정책 변동성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정세를 살피는 중이다.

20일 산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인상하고, 전기차 배터리와 배터리 부품도 7.5%에서 25%로 각각 올렸다.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가 자국 전기차 산업 발전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미국 의회는 지난해 말부터 정부를 향해 "저가 정책을 앞세운 중국산 전기차는 미국 전기차 산업의 실존적 위협이다. 시장 진출을 막기 위해 높은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요구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부품 계열사 및 협력사 부품 전수조사를 벌이고 부품 공급망 내 중국산 제품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혹시 모를 정책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최근 일어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공급망 관리 차원"이라며 "이례적인 일은 아니다"고 밝혔다.

배터리 업계는 "미중 무역갈등에 대비해 공급구조를 체계적으로 관리했다.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오히려 중국 관세 부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한국 배터리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어서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저가 공세를 펼치던 중국산 배터리에 높은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현지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 한화큐셀의 경우 태양광 모듈에 중국산 태양전지를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아 관세 인상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미중 무역갈등 격화에 따른 중국 사업 불확실성 증대는 향후 어떠한 형태로든 문제로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대응 방식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