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업 사업 우선순위, 중·일서 베트남·인도로"
"韓기업 사업 우선순위, 중·일서 베트남·인도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니·말레이시아·사우디도 중점 사업 수요국가로 떠올라
(사진=한국무역협회)
(자료=한국무역협회)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우리나라의 해외 비즈니스 수요가 과거 중국과 일본에서 베트남, 인도 등 아시아 신흥 시장으로 옮겨가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KITA)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외 비즈니스 수요 실태 조사 결과' 보고서를 8일 발간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수출액 상위 1만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 중 906개의 기업이 응답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은 현재 우리 기업의 주요 해외 비즈니스 대상국을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독일 순으로 꼽은 반면 앞으로 미국, 베트남, 인도, 중국, 일본 순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특히 주요 비즈니스 대상국으로 여겨지던 홍콩, 브라질 대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새로운 중점 비즈니스 대상국으로 지목됐다. 

또 수출 실적이 큰 기업은 인도를, 수출 실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은 베트남과 중국을 중점 비즈니스 파트너로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 실적 1000만 달러 이상 기업이 언급한 향후 중점 비즈니스 대상국으로는 미국 27.3%, 인도 8.4%, 베트남 8.2%, 일본 5.1%, 중국 4.5%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1000만불 미만 기업들은 미국 20.5%, 베트남 9.6%, 중국 9.1%, 인도 7.1%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 기업의 81.2%는 내수 시장 한계 극복을 위해 성장성이 높은 해외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고용이 많고 수출 실적이 큰 기업일수록 현지 투자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해외 대비 높은 국내 인건비, 생산비용 및 법인세 부담 등 비용 요인(49.2%)이 해외 직접 투자를 고려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출 기업은 현지 바이어‧파트너 발굴의 어려움(61.4%)을 가장 큰 애로로 꼽았으며 수출 1000만 달러 이상 기업의 경우에는 상대국 수출입 규제 및 상관행에 따른 어려움(46.6%)도 크다고 응답했다. 반면 고용인원 10인 미만의 영세 기업의 경우에는 무역 보험 등 금융 지원 관련 애로 응답 비중이 34.9%로 나타났다. 

해외 투자 기업의 경우에는 현지 시장 및 세제 관련 정보 부족(59.5%), 현지 협력 파트너 발굴의 어려움(42.1%)을 주로 호소했으며 3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상대국 정부의 차별적 지원정책(46.2%) 및 정책 투명성 부족(30.8%)으로 인한 어려움도 크다고 응답했다. 

수출 기업은 앞으로 수출 확대를 위한 현지 바이어‧파트너 연결 지원 사업(63.6%), 현지 시장 관련 정보 제공(45.9%)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대기업의 경우에는 통상 교섭 활동 확대 및 정부 간 공식 고위급 협력 채널 구축이 필요하다는 답변 비중이 23.1%로 높게 나타났다. 

현지 투자 기업은 현지 외국인 투자 관련 세제, 보조금 등 정보 제공 사업(63.5%)이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현지 파트너 발굴을 위한 비즈니스 행사(54.7%) 수요도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용 규모, 수출 실적 등 기업 특성에 따라 해외 비즈니스 관련 애로와 필요한 지원 사항이 상이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우리 기업의 효과적인 해외 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기업군별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기업 직접 투자의 국내 유입보다 해외 유출이 더 큰 투자 역조 현상에 따른 일자리 해외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국내 세제 혜택, 보조금 지원 등 기업의 비용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