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韓 가계 초과저축 100조···소비보다 예금·주식으로 보유"
한은 "韓 가계 초과저축 100조···소비보다 예금·주식으로 보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발표
초과 저축분, 불확실성에 소비·대출상환 '주저'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붙어 있는 대출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붙어 있는 대출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우리나라의 가계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 100조원 이상의 초과저축을 축적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실물경제 측면에서 소비 충격시 완충역할을 할 수 있지만, 금융시장 측면에서는 기대변화 등에 따라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단 분석이다.

한국은행 조사국은 24일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 BOK 이슈노트'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팬데믹 이후(2020~2022년)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은 현금‧예금, 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 증가하며, 2017~2019년(591조원)보다 두배 가량 늘어났다.

이 중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방식을 원용해 추정해보면, 가계에 축적된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이는 명목 GDP(국내총생산) 대비 4.7~6%, 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이다.

미국의 경우 초과저축 일부가 소비재원으로 이용되면서 초과저축 규모가 빠르게 감소했지만, 우리나라는 초과저축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모습이다.

한은 조사국은 초과저축의 증가원인을 두고 팬데믹 직후에는 소비감소, 지난해에는 소득증가가 크게 기여했다고 진단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에는 소득증가 기여도가 축소됐다.

또한 저축률 상승 원인을 저축 동기별로 분해해 보면 저축률 상승의 대부분이 팬데믹으로 인한 소비제약 등 '비자발적 요인(forced saving)'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가계가 축적된 저축을 소비재원으로 활용하거나 부채 상환 및 자산 취득에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은 조사국은 "2020~2022년 중 가계 처분가능소득이 팬데믹 이전보다 크게 증가하면서 가계의 물가·금리 부담을 상당부분 완충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반면 해당 기간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급증했는데, 이는 초과저축을 부채상환에 적극 활용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소비와 부채상환에 사용되지 않은 가계의 초과저축은 주로 예금·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계가 실물 및 금융상황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문제는 초과저축이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됨에 따라 소비 충격시 완충역할을 할 수 있지만, 금융시장 측면에서 자산시장으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점이다.

한은 조사국은 "초과저축으로 개선된 가계 재무상황은 부정적 소득충격의 영향을 완충하면서 민간소비의 하방리스크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반면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할 기회를 제공한다"며 "해당 흐름이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질 경우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