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20년만에 교보증권 되팔려는 까닭?
교보생명, 20년만에 교보증권 되팔려는 까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선현 기자]<sunhyun@seoulfn.com>교보증권이 하반기 증권사 M&A시장의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주주인 교보생명이 지분매각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교보증권은 지난해에도 M&A시장에 매물로 나왔으나 가격이 맞지 않아 성사되지 않았었다. 올해 들어서도 매각설은 꾸준히 나돌았지만 교보생명은 그때마다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해 왔다. 그랬던 교보생명의 입장이 바뀐 까닭은 무엇일까?
 
교보증권은 23일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최대주주인 교보생명에 문의한 결과 교보생명은 교보증권 주식 전부 또는 일부를 6월 중순 이후 매각하는 것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교보생명이 교보증권을 매각할 의사가 있음을 사실상 시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교보생명이 매각에 나설 경우 교보증권은 20여년 만에 또 다시 M&A시장에 나오게 되는 셈이다. 교보생명은 지난 90년대초 업계꼴찌였던 당시 '대한증권'을 인수해 교보증권으로 개명했었다. 당시 교보생명의 대한증권 인수가는 1700억원 수준. 당시 이같은 인수가격을 놓고 금융권 안팎에서 설왕설래 말들이 많았었다. 너무 비싼 가격에 샀다는 것. 이에, 만약 교보증권이 매각될 경우 그동안 회사가치 상승과 화폐가치 하락 등을 감안할 때 과연 어느정도의 가격으로 팔릴지가 주목된다.
 
현재 유진투자증권과 GS·롯데그룹 등이 교보증권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업계에는 교보생명이 지분 51.63%를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넘기는 조건으로 주당 3만5000원, 총 6500억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교보생명의 교보증권 지분 매각방침은 교보생명 상장과 관련 추가증자 가능성 등으로 자금확보 필요성이 생긴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보생명은 생보사 상장물꼬가 트이면서 생보 빅3(삼성, 교보, 대한)중 상장 1순위로 거론돼 왔다. 다만, 상장시 증자 등으로 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를 위해 목돈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이 부담이다. 이에,  교보증권 지분 매각은 재원마련 차원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완전 매각이냐 부분 매각이냐는 아직 속단키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              
 
박선현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