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리스크 요인 "금리인상"보다 "경기침체"…금융권 일각 우려
하반기 리스크 요인 "금리인상"보다 "경기침체"…금융권 일각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금리 인상, 시장에 선반영…"인상폭 작을 것"
국내 경기, 하반기부터 침체 국면…악순환 가능성
건설현장 (사진=서울파이낸스DB)
건설현장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금융권 일각에서는 정작 하반기 리스크 요인으로 '금리 인상'보다 '경기 침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0.25%p인상했다. 연준은 향후 금리를 2차례 더 인상하겠다고 시사했다.

그런데 국내 금융시장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하반기 한차례 정도 기준금리가 인상될 뿐 큰 변동성은 없을 걸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박성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역전현상에도 불구하고 미국 금리 인상 속도를 따라갈 수 없고 내년 이후 경기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한국은행이 금리를 3분기 한 번 정도 인상하는데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예견된만큼 시장에 선반영돼 금리 인상폭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하반기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한 번 정도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마저도 불확실하다"며 "국고채나 은행채의 경우 이미 인상분이 상당부분 반영돼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리 변동이 적은만큼 은행권에서도 취약차주나 한계기업의 급격한 위기상황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경기 침체다. 국내 경제 상황이 경기후퇴에서 침체국면으로 접어들면서 가계와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나빠지는데 대출은 커녕 상환마저 어려운 지경에 이르면서 위험 수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하반기 국내 은행권의 리스크 요인은 금리 인상보다 경기 침체가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며 "각종 대출 규제 등으로 가계와 기업이 대출 받기 어려워진 면도 있지만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로 인해 사실상 대출을 생각하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업의 경우 경기 침체로 소비가 줄어들고 있어 대출을 받더라도 상품개발·유통 등이 아닌 인건비 등으로 모두 소진돼버린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결국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고용을 축소하게 되고 회사 밖으로 내몰린 직원들이 많아지면서 가계는 소비를 줄이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 2월~4월 기간동안 취업자수는 10만명대에 그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취업자 수는 1년전에 비해 33만4000명 늘었지만 2월에는 10만4000명으로 증가폭이 급격하게 축소된 뒤 3월 11만2000명, 4월 12만3000명 수준에 그쳤다.

경제성장률은 더 암담하다. 국책연구기관인 KDI는 지난달 31일 하반기 성장률을 2.8%, 내년은 2.7%로 전망하면서 "성장 저하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계 역시 주택 과잉 공급과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부동산시장이 침체되면서 과도한 대출을 받은 취약차주부터 부담을 느끼게 된다.

고용이 불안한 상황에 집값마저 하락할 경우 깡통주택 등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깡통주택은 지난 2008년 미국 금융위기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은행권 다른 관계자는 "은행들이 당장은 가계나 기업에 대한 대출을 축소하지 않더라도 하반기 경기가 나빠지게 되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신청을 거절하는 사례가 조금씩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