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격호로 향한 檢 칼끝…롯데 계열사 '올스톱'
신격호로 향한 檢 칼끝…롯데 계열사 '올스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 총괄회장 탈세혐의 수사…계열사 경영공백 지속

▲ 롯데그룹은 지난해 7월 신동주·신동빈 형제간 경영권 분쟁에 이어 올해 강도 높은 검찰수사까지 받으면서 지난 1967년 롯데제과 설립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태희기자] 롯데그룹 비자금 의혹을 수사하던 검찰의 칼끝이 신격호 총괄회장을 겨누기 시작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7월 신동주·신동빈 형제간 경영권 분쟁에 이어 올해 강도 높은 검찰수사까지 받으면서 지난 1967년 롯데제과 설립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검찰은 신 총괄회장의 탈세 정황을 포착하고 본격 수사에 나섰다. 신 총괄회장의 셋째부인인 서미경씨 모녀에 대한 재산 증여 과정에서 상당한 규모의 세금을 탈루한 혐의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검사 조재빈)는 지난 1일 신 총괄회장 측에 법률 자문을 해준 한 대형 로펌으로부터 임의 제출 형식으로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강남구 소재의 이 로펌은 규모면에서 국내 5위안에 드는 곳으로 롯데가 연루된 사건과 관련 여러차례 법률 자문을 맡기도 했었다.

검찰은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는 동시에 해당 로펌 소속 변호사와 회계사 등 관계자들을 소환해 현재 조사 중이다.

서씨 모녀는 신 총괄회장으로부터 1000억원 상당 부동산을 증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방배동 전 유원실업 사옥과 주차장 부지(약 750㎡), 반포동 현 유원실업 사옥 건물(656.6㎡), 신사동 부동산(606.2㎡), 동승동 유니플렉스 공연장(760.04㎡)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서씨 등이 부동산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롯데건설 등과 거래를 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검찰은 이 과정에서 비자금이 조성됐을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신 총괄회장의 탈세의혹에 대해 수사를 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구체적으로 언급할 단계는 아니다"고 언급했다.

현재 검찰은 롯데그룹의 비자금 의혹을 수사하면서, 한편으론 신 총괄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오너 일가의 재산 형성 과정도 살펴보고 있다. 검찰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은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 및 배임·횡령,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총수일가의 자산 불법거래 의혹 등이다.

롯데그룹의 압수수색은 지난 6월10일 시작돼 총 30여곳이 넘는 계열사를 거쳤다. 그룹 수뇌부로 불리는 정책본부의 고위 인사들을 소환 조사 해 총수 일가의 자금 흐름에 대해 확인했다.

압수수색을 받은 계열사는 롯데건설, 롯데케미칼, 롯데상사, 코리아세븐, 롯데닷컴, 롯데부여리조트, 롯데제주리조트, 롯데알미늄, 롯데제과, 롯데칠성 ,롯데그룹, 롯데쇼핑(백화점. 시네마), 호텔롯데, 대홍기획, 롯데피에스넷, 롯데홈쇼핑, 롯데정보통신 등이다.

이에 롯데그룹은 하반기 경영을 모두 전면 중지한 상태다. 지난해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대국민사과와 함께 약속했던 호텔롯데 상장도 무기한 연기됐다. 이를 통한 미국 면세점 사업과 명품 브랜드 인수 등의 계획도 무산됐다. 롯데케미칼은 미국 화학회사 액시올 인수를 철회하기도 했다.

또 롯데그룹 상장 계열사 시가총액은 검찰이 롯데그룹 수사를 본격화한 10일 전인 9일보다 1조원 넘게 줄었다. 자금 조달을 위해 공모 회사채를 발행하려던 롯데물산과 롯데칠성음료도 일정을 취소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계열사로부터 총수일가까지 그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면서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일본기업이라는 이미지에 신격호 총괄회장의 명성 또한 무너지면서 그룹 최대 위기에 봉착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신동빈 회장은 지난달 3일 귀국한 이후 한달간 공개석상에 모습을 감추고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들은 소공동 본사 집무실로 출근해 내부 현안을 처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 회장은 주로 그룹의 핵심 인물인 이인원 정책본부장(부회장), 소진세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 황각규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등을 중심으로 주요 사안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