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도 복합점포 허용?…전업계 vs 지주계 '공방'
보험사도 복합점포 허용?…전업계 vs 지주계 '공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희정기자] 금융위원회가 은행, 증권에 이어 보험사에도 복합점포 입점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면서 보험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다음 달 공청회를 열고 복합점포에 관한 보험업계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하지만 복합점포 입점을 두고 금융지주계 보험사들과 전업계 보험사 간 치열한 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 "원스탑 서비스 제공…소비자 편의 향상"

우선 금융지주계 보험사들은 금융그룹 이용 고객에게 원스탑으로 재무설계 서비스는 물론, 은행, 증권, 보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소개할 수 있어 고객편의와 계약 유지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보험 상품의 복잡성, 신계약 중심의 영업 행태, 과도한 설계사 수수료 선지급 구조 등으로 보험민원은 금융권 민원의 50%를 넘게 차지하는데, 기본급이 보장되는 보험 설계사들이 영업을 하게 되면 영업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채널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내놨다.

금융지주계 보험사 관계자는 "기존의 설계사를 통해서도 보험 상담을 받을 수 있고, 추가적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선택권은 더 늘어나고, 소비자 효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지주계 보험사 관계자도 "전업계 보험사들은 최근 우리은행과 삼성증권이 비계열 복합점포를 연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라며 "수도권 진출을 노리고 있는 지방은행과 더불어 복합점포를 개설하는 것도 현재 하나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 "방카 25%룰 유명무실…'꺾기' 우려"

반면 전업계 보험사들은 복합점포가 도입되면, '방카슈랑스 25% 룰'은 이미 깨진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방카 25% 룰은 한 은행이 특정 보험사의 상품 판매 비중을 전체의 25%로 제한하는 규정이다. 같은 금융지주 계열보험사나 대형사 중심의 상품판매 집중을 막기 위해 마련됐다.

또 현재 방카채널에서는 보장성 보험과 자동차 보험을 판매하지 못하는데, 복합점포의 경우 이같은 제한 규정이 없어 앞으로의 판매 채널 판도를 뒤집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은행은 대부분 역세권 및 1층에 점포를 개설하고 있어 고객이 들어서기가 쉽지만, 보험은 설계사들이 고객을 찾는 영업형태기 때문에 고객 접근성을 고려한 점포를 개설하지 못했다"며 "업계 영업 성격 상 형평성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구속성 보험계약인 이른바 '꺽기'에 대한 우려도 제기했다. 전업계 보험사 관계자는 "은행직원이 대출 서류를 내밀면서 옆 칸의 보험을 함께 소개받아 보라고 종용하면, 일단 대출이 급한 소비자는 보험 가입 압박을 받을 것이 분명하다"며 "금융당국이 아무리 꺽기 근절을 강조한다 하더라도 복합점포 도입으로 인해 꺽기는 심심치 않게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너지 효과 의문" 지적도

일각에서는 복합점포의 파급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같은 영업형태가 보험업계에서 아예 없었던 일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 금융그룹 보험사를 주축으로 보험, 증권, 자산운용 등의 서비스를 한꺼번에 받을 수 있는 '금융 플라자'가 있었지만, 시너지 효과가 크지는 않았다"며 "은행과 연계된 복합점포의 영향이 얼마일지는 미지수"고 말했다. 이어 "한 은행의 점포 수는 1000개를 넘는데, 설계사 채널이 빈약한 계열 보험사가 그만큼의 인력을 당장 어디에서 끌어올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반문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금융지주계 보험사와 전업 보험사 간 균형을 잡아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복합점포 활성화 방안은) 금융산업 경쟁 측면에서 비은행 금융그룹이나 비은행 금융회사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공정한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며 "중소형 보험·증권회사는 고객관계 강화를 모색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정부는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