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로봇·스마트자동차 등 미래 먹거리에 5조6천억 투자
지능형로봇·스마트자동차 등 미래 먹거리에 5조6천억 투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통합 종합실천계획 발표
2024년까지 수출 1천억달러 규모 신산업으로 육성

 정부가 2020년까지 지능형로봇과 스마트자동차, 5세대(5G) 이동통신, 무인항공기 등 19개 미래 먹거리 산업에 5조6천억원을 투자, 2024년까지 수출 1천억달러 규모의 신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이자 창조경제 대표 신산업 창출의 핵심전략으로 이런 내용의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을 마련해 24일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실천계획에서 미래부가 200여명의 전문가를 참여시켜 마련한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 13대 분야와, 산업부가 추진단을 중심으로 세운 '산업엔진 프로젝트 발전계획' 13대 분야를 통합해 19대 미래성장동력으로 확대 개편했다.

이 중 미래신산업 분야는 지능형로봇, 착용형 스마트기기, 실감형콘텐츠,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 가상훈련시스템 등 5개, 주력산업 분야는 스마트자동차, 심해저 해양플랜트, 5G 이동통신, 수직이착륙무인기 등 4개다.

공공복지·에너지산업 분야는 맞춤형 웰니스케어, 신재생 하이브리드, 재난안전시스템, 직류송배전시스템, 초소형 발전시스템 등 5개, 기반산업 분야는 융복합소재 지능형 반도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첨단소재가공시스템 등 5개다.

정부는 이번 계획의 실행을 위해 올해 사물인터넷 772억원, 지능형로봇 700억원, 착용형 스마트기기 983억원, 5G 이동통신 771억원, 스마트자동차 282억원, 지능형 반도체 608억원 등 약 1조원을 투자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모두 5조6천억원을 투입해 2024년까지 수출 1천억달러 규모의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또 이들 산업의 전략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개발 초기단계부터 핵심 소프트웨어(SW)를 연계하고, 핵심 취약기술은 산학연 공동개발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진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특히, 미래성장동력 분야 조기성과 창출을 위해 융복합소재(폴리케톤), 실감형콘텐츠(다면영상시스템) 등 6개 과제에 대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2017년까지 원양 어군탐지용 무인기 개발 등 12개 분야에 대해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들 산업의 인프라 지원을 위해서는 창의·융합형 고급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시험평가용 연구장비와 국제표준화 및 인증 지원체계 등 기술 인프라를 구축하고, 중소·중견기업 위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면서 이들 기업의 사업화 자금 지원을 위해 2021년까지 1조5천억원의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스마트자동차, 무인항공기(드론), 착용형 스마트기기 등 융합 신제품 분야는 올해 11월 열리는 창조경제박람회 때 시연할 예정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미래성장동력 분야에 대해 정부가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적극 개선할 것"이라며 "미래성장동력 19대 분야를 주축으로 경제성장의 퀀텀점프(대도약)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실행을 통해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도출해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실천계획을 관계부처 협의와 민간 의견수렴을 거쳐 4월 열리는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